<두뇌골프>러프에서의 어프로치샷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5면

골퍼들은 벙커와 러프를 싫어한다.공이 벙커나 러프에 빠졌을때대부분 주말골퍼들은 『저걸 어떻게 탈출할까』라는 걱정이 앞서게된다. 그러나 두려워할 것은 없다.골프는 마인드게임이므로 긍적적으로 생각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도 있다.
그린 주변 러프에서의 어프로치샷은 공이 날아가는 거리와 구르는 거리의 비율이 보통 50대50이다.떠서 날아가는 거리가 5라면 굴러가는 거리도 5가 된다는 것이다.클럽헤드가 공에 맞는순간 클럽 타면과 공 사이에 풀이 끼어 공의 스 핀이 줄어들기때문에 런이 많이 생기기 때문이다.
러프에서의 어프로치샷은 그립을 잡은 두손이 임팩트때 클럽헤드보다 앞쪽(왼쪽)으로 먼저 나가는,이른바 핸드퍼스트 자세가 이상적인 타법이다(그림 왼손 참조).
백스윙은 클럽의 샤프트를 수직으로 올리고 수직으로 다운스윙하면서 임팩트해야 한다.임팩트후에는 무리하게 폴로스루를 하려고 하지 말고 왼쪽손목을 고정시키는 정도에서 피니시를 마쳐야 한다(그림).특히 러프에서는 벙커샷할 때와 마찬가지로 클럽헤드의 바닥이 땅에 닿지 않아야 정확한 샷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남은 거리가 30 이상일때는 클럽타면을 거리에 따라 오픈해야 한다.그렇지 않으면 악성 훅이 나기 쉽다.클럽헤드의 리딩에지(날 부분)는 풀을 자르며 공을 치게 되지만 헤드 목부분은 둥글어 풀에 걸리기 때문이다.즉 클럽헤드는 설계구조상 앞쪽(토)이 무겁기 때문에 앞부분이 더 빨리 돌아 악성 훅이 유발되는 것이다.
특히 러프에서의 어프로치샷은 공을 치는 순간 오른발 발바닥을지면에 밀착시켜야 정확도가 높아진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그림참조> 박윤숙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