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와 비교한 우리 청소년 의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한국의 청소년들은 외국 청소년들에 비해 성취욕,장래에 대한 기대는 비교적 높으나 부모에 대한 신뢰는 대체로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현재의 교육에 대한 만족도도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새 전자제품.기술등 새로운 것에 대한 관심은 일본 청소년들보다 훨씬 높아 미국 청소년들과 비슷한 수준이며,유명상표를 선호하는 정도도 일본 청소년들보다 더하다.
미국 뉴욕의 여론조사연구기관인 브레인 웨이브스 그룹이 최근 세계 41개국 15~18세 학생 2만5천5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의식.태도조사에 따르면 한국 청소년들은 「원하는 직업을 갖겠다」(응답률 84%),「직업에서 성공하겠다」(8 2%),「부자가 되겠다」(42%)등 성취욕과 관련된 항목에서 세계평균(항목순대로 각각 83%,78%,42%)과 엇비슷하거나 그 이상이었다. 「유명해질 것」(37%),「잘살게 될 것」(69%),「부모보다 더 잘살게 될 것」(45%)등 장래에 대한 기대감 항목에서도 세계평균(각각 30%,52%,46%)을 상회하거나 비슷했다. 「새 전자제품.기술에 대한 관심」(36%),「새로움에대한 관심」(73%)도 세계평균(각각 34%,74%)수준이었는데 특히 일본 청소년들은 이들 항목(각각 15%,40%)에서는물론 성취욕.장래에 대한 기대감등 항목에서 한국 청소 년들에 훨씬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청소년들은 또 「유명상표만을 선호한다」(29%),「유명상표면 옷값에 개의치 않는다」(36%)는 항목에서 세계평균(각각 26%,34%)을 앞섰다.
한국 청소년들이 부모를 그다지 신뢰하지 않는다는 것은 상당히충격적이다.
우리 청소년들은 「부모를 믿느냐」는 물음에 불과 55%만 『그렇다』고 대답했다.
이같은 신뢰도는 세계평균(69%)이나 미국 청소년들(72%)의 그것에 훨씬 못미칠 뿐만 아니라 특히 이번 조사대상이었던 아시아 11개국 청소년들 중에서도 여덟번째에 해당하는 낮은 수준이다. 조사대상 아시아 국가들은 한국을 비롯,중국.일본.대만.홍콩.싱가포르.태국.베트남.인도.필리핀.인도네시아등이었다.
이번 조사를 통해 기성세대가 크게 반성해야 할 점으로 부각된또다른 측면은 바로 교육이다.
우리 청소년들의 교육에 대한 만족도(49%)는 역시 세계평균(63%).미국(72%)에 크게 못미칠 뿐만 아니라 아시아 11개국중에서도 9위로 하위권에 처져 있다.
또 성적을 최우선시하는 주변환경과 대입(大入) 중압감에 눌린탓인지 한국 청소년들은 「절친한 친구가 있다」는 항목에 68%만 『그렇다』고 응답해 세계평균(72%)에 미치지 못했고 아시아에서도 9위에 그쳤다.
더욱이 「학업을 끝까지 마치겠다」는 의지(72%)에서도 아시아 9위에 랭크돼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태어난 곳에서 계속 살 것」이라는 한국 청소년들의 응답은 33%로 아시아에서 9위,「현재 거주지에서 계속 살 것」이라는응답은 14%로 아시아 10위였다.그만큼 우리 사회가 역동적이라고 할 수 있고 덜 안정돼 있다고도 볼 수 있 다.
우리 청소년의 경우 연주회 감상(6%,아시아 11위),실외스포츠활동(39%,아시아 10위),파티 참석(2%,아시아 11위),경기관람(34%,아시아 8위)등 밖에서 즐기는 여가활동에는상대적으로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 음반.CD.테이프 듣기는 81%로 아시아에서 대만 다음으로 2위에 올랐고,TV 시청(82%,세계평균 79%),라디오청취(61%,세계평균 59%)등도 세계수준 이상이어서 집안에서혼자 즐기는 여가활동에는 열심이다.
우리 청소년들이 공무원을 희망하는 경우는 7%에 불과해 아시아 10위를 기록했다.여행에 대한 선망은 65%로 아시아에서 대만 다음으로 2위를 차지해 전국민적으로 불고 있는 해외여행 추세를 반영했다.
워싱턴=진창욱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