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사무처 15대총선 결과 보고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15대 총선에서 강원도 유권자의 1표는 서울 유권자의 1.9표와 같았다.서울 유권자의 표는 제값을 못받고 크게 밑진 셈이다. 국회 사무처가 14일 발간한 「15대 총선결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이같은 결과가 나오게 된 것은 선거구 획정결과 각 선거구간 유권자 수의 차이가 너무 컸기 때문이다.올해초 여야가 선거구 협상에서 합의한 대로 최대선거구와 최소선 거구간의인구 편차를 뽑아보면 4.4대1.자연히 전국 선거구별로 표 값은 천차만별일 수밖에 없다.가까운 일본은 이 편차를 2대1 이내로 규정하고 있다.때문에 보고서는 15대 국회가 이 불공평을시정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보고서는 또 『15대 총선은 초선이 약진했다』는 일반적인 통념에 반하는 해석도 내놓고 있어 주목을 끈다.즉 15대의 경우지역구 당선자중 초선이 40.7%를 차지,14대때의 33.8%보다 증가했지만 이는 역대 15번 치른 총선중 9번째로 사실은그리 높은 수치가 아니라는 것.
특히 15대에 처음 출마한 후보자의 당선율은 9.6%에 불과한 반면 재선급 이상의 당선율은 50%를 넘은 것으로 나타난 점을 감안해도 단순히 초선의 비율이 높다고 해서 이를 「세대 교체」와 연계하는 것은 무리라고 밝혔다.이와 함께 3김의 연고지역인 부산.경남,호남,충청을 제외했을때 신한국당은 농촌,국민회의는 도시에서 각각 많은 득표를 해 『지역주의에 가려져 있을뿐 여촌야도(與村野都)현상은 여전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