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우리청소년의 모습"심포지엄 발표내용-폭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청소년의 좌절과 그 결과로서 폭력행동이 일어난다면 그것은 소속에 대한 유대감,타자로부터의 사랑,자존심의 보호,그리고 자아실현과 같은 상위수준의 욕구들이 충족되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대인접촉기회의 감소로 자폐적 생활과 자아중심성이 지나치게 발달됨으로써 청소년들은 과대망상적 행동을 저지를 위험이 있다.
부모의 과보호로 부모의존형 청소년이 양산돼 실패를 부모탓으로 돌리는 부모학대현상이 증대할 것이다.폐쇄적 생활은 또한 대인간의 정서적 유대를 약화시켜 절대권력을 갈망하는 청소년이 늘게 된다.평화로운 협상.합리적 논의.열정보다 이성이 지배하는 분위기.정서를 함양하는 문화예술및 스포츠.건전한 성윤리 등이 청소년의 안정된 성장과 발달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윤진 연세대 심리학과교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