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험생 선택기회 넓혔다-확대된 大入 복수지원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96학년도 전기대 입시 결과 복수지원 확대에 따른 복수합격자양산과 이들의 이탈.미등록,추가합격자 선발등 대혼란이 빚어지고있다. 특히 올해 처음으로 서울대와 연세.고려대 등 상위권 대학에서도 복수지원이 허용됨에 따라 대학간 대규모 합격자 이동으로 대학 서열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과연 이같은 제도가 바람직한 것이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또 97학년도 입 시에서는 이같은 복수지원제가 더욱 확대될 계획이어서 혼란 방지를 위한 보완조치가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복수지원제 논란=미국등 선진국에서 보편화된 복수지원제는 서울대와 연세.고려대등 세칭 명문대가 입시일자를 담합,한 날짜에입시를 치르는 「단판 승부」의 폐해를 해소시키기 위한 제도라고볼 수 있다.
대학엔 번거롭지만 수험생에겐 선택의 기회를 넓혀준다는 측면에서 매우 합리적이나 중.하위권 학생보다 상위권 학생의 탈락 가능성을 줄인다는 점에서 이들에게 상대적으로 유리한 측면을 지니고 있다.
대학 입장에서는 최대 3개 전기대에 합격한 학생들의 등록금을반환하고 미등록 인원만큼 충원을 계속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이 과정에서 수험생들도 혼란을 겪는다.
그러나 이번 입시 결과에서 나타났듯 서울대 탈락자 상당수가 연세.고려대에,연세.고려대 불합격자중 상당수도 서울대에 합격하는등 고득점자 탈락을 막아주는 효과를 거두게 된다.중위권 학생들도 적성과 능력에 따라 입시일자별 지원대학 조합 을 짜기만 하면 입시일자 담합으로 강요돼온 재수부담은 지지 않아도 된다.
다만 자신의 실력보다 지원대학을 높여잡는 배짱지원이나 미달사태등 요행을 바라는 눈치지원으로 합격할 수 있었던 「우연 변수」는 크게 줄었다.
◇대책및 전망=교육부는 올 입시에서 각 대학이 예비합격자를 발표하지 않은 채 제각각 합격자 발표및 등록기간을 서로 다르게잡아 수험생의 혼란을 초래했다고 보고 내년 입시부터는 각 대학최초 등록기간을 일정하게 조정할 방침이다.복수 지원 수험생이 먼저 합격자를 발표한 대학에 일정기간 등록금을 납부하지 않은 채 다른 대학 합격여부를 확인하는 여유를 갖게 하는 등록유예제도도 각 대학이 충분히 활용토록 할 계획이다.
97학년도 새 입시는 전.후기대 구분이 없어지고 입시일자 강제분산제 도입으로 네차례의 입시일자 별로 대학들이 고르게 분산된다.
권영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