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 계엄확대 비상 閣議때 新군부측 외부와 통신 차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80년 5.17 비상계엄 전국확대를 결의한 임시국무회의가 공포분위기에서 통신이 두절되고 고립된 가운데 진행되는등 5.18내란행위의 실마리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12.12및 5.18사건 특별수사본부(본부장 李鍾燦서울지검3차장)는 19일 임시국무회의장인 중앙청에는 당일 오후 7시35분부터 노태우(盧泰愚)수경사령관의 지휘로 수경사 30경비단 병력 3백42명과 장갑차 4대가 동원돼 건물 입구까 지 1~2 간격으로 배치됐으며 건물 내부에도 수경사헌병단병력 2백53명이경계총 자세로 도열해 있었다고 밝혔다.
검찰은 또 수경사 병력은 당일 저녁이 토요일임에도 건물 곳곳에 남아있던 공무원들을 5층의 한 방으로 몰아넣은뒤 『18일 오전7시까지 나오지 말라』며 이들을 전원 감금했던 사실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검찰은 이와함께 수경사 통신과장이 『전화선을 새로 설치해야 한다』며 중앙청 통신실문을 열고 들어가 전화선 2천4백40회선을 모두 끊어 외부와의 전화통화를 봉쇄한채 국무회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같은 상황에서 당일 오후 9시42분 국무회의가 열려 8분만에 계엄확대안이 통과됐으며 이들 회선을 추후 연결하는데만 1개월 이상 소요됐다는 것이다.
한편 검찰은 광주 무력 진압에 적극 참여한 3~4명을 불구속기소키로 했다.
李본부장은 『22일 전두환(全斗煥).노태우(盧泰愚)두 전직 대통령과 이학봉(李鶴捧)전의원등 구속자를 기소할 예정』이라며 『불구속 기소 대상자는 3~4명으로 압축됐으며 22일 함께 기소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검찰은 이날 5.18 당시 서울지구 보안부대장이었던 이상연(李相淵)전안기부장을 불러 80년 8월27일 유신헌법에 따라 실시된 통일주체국민회의의 대통령 선거를 통해 전두환(全斗煥)보안사령관이 대통령으로 당선되는 과정에서 대의원들에 대해 사전회유공작을 벌인 경위등을 조사했다.
김상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