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제표에 공시地價 명기 부동산 많은 기업 눈길끌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5면

오는 4월부터 재무제표의 기업보유 부동산에 공시지가를 표기하도록 회계기준이 바뀜에 따라 부동산을 많이 갖고 있는 「자산주」들에 투자자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보유부동산이 공시지가로 무려 1천6백56억원에 달하면서도 장부가로는 8천만원에 불과한 세원 등 자산가치가 불어나는 기업들의 실체가 속속 드러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18일 증권감독원에 따르면 오는 4월부터 기업이 보유부동산의 공시지가를 재무제표의 주석에 명기하도록 회계기준이 개정된다.이에따라 막연히부동산이 많다고 알려진 기업들이 실제로 부동산을 얼마나 갖고 있는지 구체적인 수치가 대부분 드러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수도권과 서해안.부산.제주등 신개발 계획으로 부동산 가격이 최근 크게 오르고 있는 지역에 부동산이 많은 상장기업들은새로운 성장자산주로 주목을 받게됐다.
서울의 방화동.부산의 동래.군산등지에 공장부지를 보유하고 있는 세원의 경우 부동산을 공시지가로 환산할 때 주당순자산(BPS)이 주가의 네배가 넘는 12만6천원으로 늘어나고 방림의 경우 장부가로 9백92억원인 부동산이 공시지가로는 4천6백45억원으로 주당 순자산이 18만9천원에 달할 것으로 업계는 추산하고 있다.
또 대한방직도 장부가 2백35억원의 부동산이 3천3백70억원으로 높아지게 돼 4만7천원에 불과한 주당순자산이 무려 31만원에 달하게 된다.
이밖에도 롯데칠성도 4백27억원의 부동산 가치가 2천70억원으로,5백20억원으로 표기된 성창기업은 1조원으로 대폭 증가해주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왕희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