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시설 주먹구구 설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일선 경찰서들이 신호등.횡단표지등 교통안전시설물을 차량.행인통행량을 제대로 감안치 않고 특정업체 위주로 편중설치하거나 불필요한 곳에 설치해 특혜시비를 낳고 있다.
11일 경기도경찰청에 따르면 용인경찰서는 지난 2년동안 군내20여곳에 신호등을,30여곳에 횡단표지.경고등등 안전시설물을 설치했는데 성남~오산을 잇는 393번 지방도에 설치된 상당수의신호등이 행인이나 차량통행량이 거의 없는 특정 업체등이 있는 곳에 집중돼 있다.이 도로구간중 신호등이 설치된 태평양연구소앞은 이 연구소 몇몇 직원과 연구소를 오가는 차량들만이 이용할 뿐 주변에 주택은 물론 이용주민 또한 전무한 실정이다.또 고려증권체육관앞과 건설교통부산하 국도유 지건설사무소입구 도로도 극소수의 운동선수와 직원들만이 주로 이용하고 있으나 신호등이 설치돼 있다.
반면 이 도로 가운데 학교.상가.아파트등이 밀집해 사고가 빈발하고 있는 기흥국교앞은 아예 신호등이 없고 각종 기업체들이 몰려있는 고매 네거리에는 작동불능인 낡은 신호등이 방치돼 있다. 또 2,000여가구의 아파트가 밀집해 있는 구갈택지지구의 경우 주민들이 아파트 진입로 입구에 좌회전신호등을 설치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이를 무시하고 있다.
수원 남부경찰서는 지난해말 원천로(42번국도)중 원천파출소 앞에서 좌회전해 사설골프연습장등으로 진입할 수 있는 교통시설물을 설치했다.
이 도로는 30여 앞에 U턴시설까지 있어 별도의 좌회전시설물이 불필요한 곳이다.
정찬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