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지역 판도 가르는 ‘도청 이전의 경제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8일 오후 경북도청 이전 예정지가 발표되는 순간 안동시청 회의실에 모인 공무원과 시민들이 박수를 치며 기뻐하고 있다. [뉴시스]

경북 도청 유치에는 모두 11개 시·군이 뛰어들어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안동·예천 외에 포항·경주·영천·군위·상주·김천·구미·칠곡·영주·의성 등이다. 도청이 옮겨올 경우 공무원뿐 아니라 관련 기관·공무원의 가족·학교·식당 등도 따라온다. 부수적으로 엄청난 경제 효과가 발생하는 것이다. 새로운 도시가 하나 탄생하는 셈이다. 이른바 ‘도청 이전의 경제학’이다.

실제로 전라남도 도청이 2005년 11월 광주광역시에서 전남 무안군 삼향면과 목포시 옥암동 경계의 남악 신도시로 이전하자 두 도시는 극명한 대비를 보였다. 도청이 빠져나간 뒤 광주 도심은 상권이 크게 위축되는 후유증을 겪고 있다. 반면 무안군·목포시 등 전남 서남권은 지역 발전이 가속화되고 있다.

고영길 전남도 기획관리실장은 “전남도가 해양관광 육성과 섬 개발, 조선산업 육성, 대불산업단지 활성화에 성과를 거두는 등 도청 이전의 효과가 적지 않다”고 말했다.

◇도청 이전 경제효과는=경북도청 신도시는 인구 10만 명 규모로 건설될 예정이다. 옮겨 갈 공무원은 현재 도청 및 도의회·공무원교육원 등 산하기관과 경북경찰청·경북도교육청 등의 유관기관 10여 개 기관에 2000여 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도청 이전의 경제효과는 최소한 연간 3600여억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도청이 대구에 소재하고 있어 발생하는 연간 경제효과 3678억원을 거꾸로 계산한 결과다. 부수적인 생산유발효과는 2조원대로 추산된다.

신도시엔 세 가지 기능이 도입된다. 첫째 경북의 행정과 정치의 중심이 된다. 또 도립 중·고교 등을 건립해 새 경북을 끌어갈 인재 육성 기반을 구축하고 박물관·예술관·전시관 등 도립공공시설, 휴양·테마파크 등을 조성해 경북의 역사와 문화자원을 계승·발전시킨다. 여기에 경북도의 5개 산업벨트(백두대간 생태자원, 생물바이오, 낙동강경제, IT, 부품소재, 동해안 에너지)를 지원하고 연계할 수 있는 연구개발과 산업 지원 기능을 도입한다.

이를 위해 연구개발, 지원센터를 만들고 IT·BT 관련 기업을 유치하는 한편 컨벤션센터 등 업무지원 시설도 건립하게 된다.

◇어떻게 진행되나=도청 이전은 2006년 김관용 도지사가 민선 4기 도정을 맡으면서 본격적으로 추진돼 왔다. 2007년 4월에는 도청 이전을 실질적으로 주도할 민간 중심의 심의 의결기구인 ‘도청이전추진위원회(위원장 이규방)’가 발족됐다.

올 10월부터 연말까지는 도청 이전지 편입 토지 보상을 위한 기초조사를 한다. 이어 2009년 6월 말까지 도청 신도시의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한 뒤 도시개발구역을 지정한다. 새 청사 건립은 2011년 9월께 착공돼 2013년 준공된다. 신도시는 2017년까지 조성된다.  

대구=송의호·황선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