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민주화운동관련 사상자수와 보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총칼을 앞세운 신군부의 무자비한 진압으로 엄청난 인명피해를 낳은 5.18광주민주화운동의 아픈 상처는 15년이 흐른 지금도치유되지 않은채 이어지고 있다.
90년7월 광주민주화운동관련자보상에 관한 법률과 93년 김영삼(金泳三)대통령의 5.13특별담화에 따라 광주시가 두차례에 걸쳐 집계한 시민의 인명피해는 총3,013명.
166명이 숨지고 47명이 행방불명됐으며 2,800명이 중경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90년 1차조사때는 사상자가 사망 166명.행방불명 39명.
중경상 2,034명등으로 조사됐으나 93년의 2차조사를 통해 행방불명 8명과 중경상 766명이 추가로 밝혀졌다.80년이후 행방이 묘연한 47명을 숨진 것으로 봤을 때 실제 사망자수는 200명을 넘고 황룡강변에서 발견된 신원불명의 유골 10여구등을 포함할 경우 그 숫자는 더 늘어난다.
중경상자 가운데 1,064명은 계엄군에 의해 연행.구금당했으며 이중 627명은 국가내란죄등으로 구속당하는 고초를 겪었다.
정부는 이같은 피해조사를 근거로 현재까지 4,053명에게 90년 1,425억5,000여만원과 93년 390억원등 총1,815억5,000만원을 보상금형식으로 지급했다.그러나 국가가 잘못했다고 인정하는 배상이 아니고 위로금조의 보상방 식을 채택,피해당사자로부터 반발을 사기도 했다.
또 계엄군에 심한 고문을 받아 정신병에 걸린 당시 시민군상황실장 김영철(45)씨를 비롯한 514명이 후유증으로 현재도 치료받고 있다.이들은 신체적 고통보다도 5.18투쟁을 하느라 15년간 감옥에 드나들고 시위현장을 헤매는 바람에 제 삶을 살지못하는 정신적 피해가 더욱 크다고 호소하고 있다.
광주=이해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