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0㎏ 강철 폐에 갇혀 산 ‘불굴의 상징’ 그녀, 결국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앨 고어 전 미국 부통령이 2001년 12월 테네시주 잭슨의 한 파티장에서 대형 강철폐에 의지해 살아온 다이앤 오델의 이마에 입을 맞추고 있다. 이날 파티는 오델의 의료비를 모금하기 위해 열렸다. [jacksonsun.com 제공]

60년 가까이 대형 강철 폐에 의지해 살아오면서도 꿈과 희망을 잃지 않았던 미국 여성 다이앤 오델(61)이 세상을 떠났다고 AP통신이 29일 보도했다.

오델은 세 살 때인 1951년 소아마비에 걸려 폐의 일부까지 마비됐다. 이 때문에 평생 무게 340㎏, 길이 2m의 원통형 강철 폐 안에 누워서 지내왔다. 원통 밖으로 나와 있는 신체 부위는 목과 얼굴이 전부였다. 원통 상단에 거울을 붙여놓고 가족 등과 대화를 나눴다.

그는 미국 사회에서 불굴의 상징으로 통했다. 홈스쿨링 등으로 고교 졸업장을 받았고, 대학 과목 일부를 배웠다. 98년에는 음성인식기능을 갖춘 컴퓨터를 이용해 ‘소망을 주는 별(wishing star)’이란 어린이용 동화책을 쓰기도 했다. 오델은 생전에 “사랑과 믿음으로 가득한 행복한 인생을 살고 있다”며 늘 웃는 모습이었다. 또 “(원통 속에) 항상 누워있지만 욕창으로 고생한 적은 한 번도 없다”며 “보기보다 편안하다”고 되레 주변 사람들을 위로하곤 했다.

2007년 2월 그의 60번째 생일잔치에는 200여 명의 가족과 친구가 모였다. 또 수백 장의 생일 축하 편지가 미 전역에서 쇄도했다. 그녀를 후원하기 위한 단체들도 잇따라 생겨났다.

그러나 갑작스러운 정전은 어렵사리 지탱해오던 그의 생명을 앗아갔다. 28일 그의 집이 있는 미국 테네시주 잭슨에 닥쳐온 폭풍으로 이 일대에 정전이 발생했다. 그를 지탱해 오던 강철 폐가 정전으로 인해 갑자기 멈춰 섰다. 비상용 발전기가 있었지만 그의 생명을 붙잡지는 못했다. 뒤늦게 도착한 구급대원들도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했다.

그의 가족들은 “몇 달 전부터 건강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정전을 견딜 만한 체력이 남아 있지 않았던 것 같다”며 슬퍼했다. 오델의 병간호를 도왔던 프랭크 맥민 웨스트 테네시 헬스케어협회 회장은 “그는 내가 평생 만나본 사람 중 가장 친절하고 사려 깊은 사람이었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오델이 생명을 기대온 대형 강철 폐는 20년대 말부터 널리 사용되던 것이다. 소아마비로 손상된 폐가 정상적으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할 수 있도록 원통 안에서 압력을 발생시킨다. 50년대부터 개량됐지만, 오델은 척추까지 심하게 손상돼 구형 강철 폐를 그대로 사용해 왔다. 그는 구형 강철 폐를 가장 오랫동안 사용한 사람이기도 하다. 지금도 75~100명 정도가 그녀와 같은 구형 강철 폐를 사용하고 있다. 

이수기 기자

▶ [J-HOT-사회] "사장님 안녕하세요? 저 회사 그만두니 메일 확인좀"

▶ [J-HO-사회T] 레이더에 잡히지 않는 '바다의 유령'

▶ [J-HOT-사회] 102세 '무면허 명의' 기소에 "처벌말라" 왜?

▶ [J-HOT-사회] "세계에서 가톨릭교회 다음으로 규모 큰 '조직'입니다"

▶ [J-HOT-사회] "우리 엔조이였어요?" 관계 눈치챘다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