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시군통합.광역시 구역개편 한지 언젠데 행정서비스는 그대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올해초 지방선거를 앞두고 이뤄졌던 市.郡통합,광역시 확장,분구(分區)등 행정구역개편의 뒤처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어해당지역 주민과 기업들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지난 3월 부산.인천.대구등의 광역(廣域)시역으로 편입된 시.군들중 대부분은 아직까지 주소지만 광역시로 표기될뿐 전화.우편번호등은 개편전의 것을 그대로 써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인천광역시서구검단동(개편전 경기도김포군검단면)에서 제조업을하고 있는 金모(56)씨는 지난 6월 얼마전 새로 알게 된 업자로부터 『유령회사가 아니냐』는 항의를 받았다.
인천지역 114로 金씨 공장의 전화번호문의를 해보니 『그런 회사가 없다』는 답변을 들었다.
金씨는 나중에야 전화.우편번호가 예전 김포군의 것에서 아직 바뀌지 않아 혼돈이 생긴 것을 알았다.
검단동사무소 관계자는 『지난 3월부터 주민들의 항의가 폭주,구청측에 시정건의를 하지만 「기술적인 문제때문에 당장은 어렵다」는 답변 뿐』이라고 말했다.
또 개편전에 이뤄지던 각종 공사도 시행주체가 달라짐에 따라 차질을 빚고 있다.
인천시서구검단동 4차선 도로 확장공사.가스공사는 당초 경기도청에서 시공착수했으나 인천시로 시공주체가 바뀌자 인수.인계를 둘러싼 이해관계가 얽혀 한달넘게 공사가 중단됐다.이밖에도 광역시로 편입된 주민들은 택시요금이 미터기요금으로 적 용돼야 하는데도 개편전의 협정요금이 그대로 성행해 2배가 넘는 택시요금을부담하고 있다.
지난 3월 부산광역시 기장군으로 편입(개편전 양산군기장읍)된주민 임애자(任愛子.주부.30)씨는 『전화 지역번호도 그대로일뿐 아니라 시내버스 배차간격 또한 시외버스보다 오히려 긴 1시간』이라며 『앞으로 빨리 시정이 안되면 집단행동 도 불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金玄基.姜甲生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