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20대, 중앙일보 대선 보도 가장 신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 젊은 층이 미디어를 어떻게 이용하고 평가했는지를 알려 주는 연구 결과가 처음으로 나왔다. 한국언론재단은 최근 발간한 미디어 전문지 ‘미디어 인사이트’의 창간호 특집으로 이 같은 내용을 소개했다. 재단 측은 지난해 8~12월 세 차례에 걸쳐 유권자들의 미디어 이용 방식을 조사했다. 동일한 집단(1차 조사 773명, 2·3차 717~726명)을 시간 차를 두고 조사해 신뢰도를 높이는 사회조사 방법론을 썼다. 그중 이번 보고서 ‘20대와 대통령 선거:매체 이용과 지지 후보의 선택’은 ‘젊은 유권자’의 바로미터인 20대에 초점을 맞췄다. 조사 대상자 중 20대 비율은 21.2%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앙일보는 거의 모든 평가 항목에서 젊은 층이 가장 신뢰하는 신문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20대 유권자들에게 ^사실에 입각한 정확한 보도 ^주관을 배제한 객관적 보도 등 다섯 가지 항목에 대해 “어느 신문이 가장 잘하고 있는가”를 물었다. 분석 대상은 중앙·조선·동아·한겨레·경향신문이었다. 이념과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고려한 선정이었다고 한다.

그 결과 중앙일보는 객관성과 정확성, 공정성을 포함해 4개 항목에서 1위를 차지했다. 특히 공급자적 시각에서 벗어나 유권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얼마나 잘 공급했는가 항목에선 2위와의 격차가 가장 컸다. ‘중요 이슈에 대한 지면 배정’ 항목에서만 한겨레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그래픽 참조>

유선영 미디어 연구팀장은 “선거 같은 중요한 시점에서 젊은 층이 어떤 미디어관(觀)을 갖고 있는지 보기 위해 20대에 주목했다”며 “가까운 미래 뉴스산업의 구도 변화를 예측하는 단초도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대선에서 20대는 전체 유권자의 19.4%를 차지했다.

이번 연구에선 조사 방법의 특성상 유권자 태도의 변화상도 여실히 드러났다. 특이한 현상 중 하나는 선거 막판으로 갈수록 신문의 이용이 크게 늘어났다는 점이다. 9월과 12월 각각 질문한 ‘지난 한 주간 거의 매일 이용한 뉴스 매체’ 항목에서 해당 비율이 늘어난 매체는 신문이 유일했다. 지상파 방송(-4.8%포인트), 인터넷 포털(-6.1%포인트), 인터넷 신문(-13.2%포인트)과 달리 신문만 그 비율이 4.8%포인트 증가했다. 연구자는 “20대조차 중요한 결정의 시기가 임박하면 인터넷보다 신문을 더 많이 찾는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보고서를 보면 20대 유권자들의 보편적인 정치 참여 방식도 알 수 있다. 20대들은 가두 유세를 보거나 모금·서명운동에 참여하는 빈도가 위 세대에 비해 적었다. TV토론을 일부러 챙겨 보는 사람은 채 5%도 되지 않았다. 하지만 모니터 앞에선 검색하고 댓글을 다는 데 나름대로 적극성을 보였다. 연구자는 이를 ‘키보드 정치’라고 규정한 뒤 “인터넷에서의 적극성과 오프라인에서의 소극성은 20대가 가진 이중성”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런 특징에도 불구하고 투표 행위는 다른 연령층과 별 차이가 없었다. 조사 대상인 20대가 실제 이명박-정동영 후보를 찍은 비율은 각각 50.8%와 28.8%로 전국 득표율(이명박 48.6%, 정동영 26.2%)과 비슷했다.

이상복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