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자에게 바란다-李精和(방송작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4대 지방선거가 막바지로 치달으면서 유세경쟁이 더욱 가열되고있는 가운데 각 후보자들이 지금까지 얼마의 선거비용을 들였을까궁금해진다.
통합선거법에서는「돈선거」를 막기 위해 법정 선거비용을 지정하고 후보자가 지정은행의 계좌에서 인출한 자금의 사용내용을 회계장부에 기재토록 했다.
그러나 선거분위기가 막바지로 갈수록 종래의 선거와 그리 다르지 않은 고질적인 타락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같다.
가짜 영수증 발급과 장부가 낮추기,그리고 자원봉사자의 활동비를 영수증으로 모아두었다가 선거가 끝난 뒤 일괄 지급키로 하는이면 계약도 성행하고 있다고 한다.수표대신 현금거래를 하는 것도 선거 관계자들의 불문율이라고 한다.1백만원이 상의 금액을 인출할 경우 선관위 지정 통장은 수표 수수료가 면제되는데도 은행창구에서 수표로 찾아가는 사람이 없다고 한다.
선거사무소 회계책임자의 가장 중요한 일은 영수증을 잘 관리해공식 선거비용을 낮추는 것이라는데 그러면 내고장 살림살이도 가짜 영수증.이면계약으로 메울 것인지 묻고 싶다.
지방자치시대의 기수라 자부한다면 후보자들은 유권자들에게 그동안의 선거비용 내용 장부를 자신있게 공개할 수 있어야 한다.왜냐하면 이 선거비용관리 내용은 후보자들이 한정된 선거비용으로 얼마나 효율적인 선거운동을 펼쳐 왔는지,얼마나 깨 끗한 선거를실천하고 있는지,내고장 살림살이 솜씨가 어느 정도가 될 것인지가늠할 수 있는 좋은 잣대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아직도 표의 행방을 찾지 못한 유권자들의 표를 끌어들이고자 한다면 후보자들은 흑색선전이나 금품제공보다 선거비용관리 장부 공개야말로 보다 효과적인 득표 방법이 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