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권자에게 바란다-권순복 지방행정 연구소 이사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지방선거 투표는 지방의원에게는 통장을 맡기고 자치단체의 장에게는 도장을 맡기는 셈이라는 비유가 있다.
투표일이 며칠 남지않아 이제 참다운 살림꾼을 뽑아 지방자치의성패를 가름하는 「공」은 유권자에게 넘어왔다.
우리나라 자치제도는 일본과 달라 불신임을 받을만한 자치단체의장이나 의원에 대한 주민 소환제도가 없다.
자치단체장에 대한 의회의 불신임권도 없고,단체장의 의회에 대한 해산권도 없다.한번 당선되면 법적임기(이번은 3년)가 보장된다. 따라서 적절하지 않은 후보가 당선되면 그 피해는 곧 주민에게 돌아간다.그러기에 투표권은 적어도 3년동안은 후회하지 않도록 행사돼야 한다.
특히 이번에는 네가지 선거가 동시에 실시되고,또 처음 겪는 일이고 보면 그 많은 후보 가운데서 올바른 일꾼을 선택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이제는 유권자 스스로가 한번쯤은 합동연설회장에 참가해 인물과공약을 알아보고 각 가정에 배달되는 후보자의 학력.경력을 면밀히 검토해 적격자를 선정하는 책임있는 민주시민으로서의 성숙성을보여야 한다.
또한 투표에 참가하지도 않으면서 선거결과에 대해,또는 당선자를 놓고 왈가왈부 시비를 한다는 것은 처음부터 자격 없는 사람이 하는 행동이다.그래서 투표권은 반드시 행사돼야 한다.
또한 혈연.지연.학연등의 초월은 말로만 할 것이 아니라 반드시 실천에 옮겨야 한다.자질이 부족한 것이 뻔한데도 자기지역 출신이라는 이유로 표를 준다면 선거후 자기지역에 미칠 역작용도생각해야 한다.
끝으로 유권자 모두가 주변에서 일어나는 모든 선거부정 사례를살피고 고발하는데 인색하지 말아야 한다.그래서 유권자 스스로가바른 선거문화를 정착시켜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