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류 유통기한 자율화 업계.단체 반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보건복지부가 지난달 31일 식품류 유통기한을 자율화하는 내용의 식품공전(公典)개정안을 입안예고함에 따라 정부.식품업계.소비자 단체간의 논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정부는 세계무역기구(WTO)체제에서 우리의 식품교역도 자율화로 갈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지만 소비자단체는 이번 제도개정이 국내업계의 이해를 반영하기 보다 미국의 통상압력에 의해 이뤄졌다는 점에서 극력 반대하고 있다.특히 국내 식품업 계가 영세한데다 유통구조도 열악해 소비자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송보경(宋寶炅)시민의 모임회장은 『지난 5월말 서울시내 백화점의 냉동식품 보관상태를 조사한 결과 영하18도 이하의 기준을지키고 있는 곳은 한군데밖에 없었다』면서 『냉장.냉동시설과 유통구조가 선진국보다 취약한 상태에서 유통기간 자 율화는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식품업계의 반응은 업종별로 엇갈린다.라면등 유통기한이 12개월로 비교적 길게 돼 있는 업계는 별다른 득실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우유.요구르트등 유제품업계는 오히려 현행기준이 다소 엄격해 품질에 이상이 없는 제품도 폐기처분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유통기한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냉장육.소시지.햄.베이컨등 육류.육가공업계는 유통기간 연장으로 국내업체들은 얻는 것 보다 잃는 것이 더 클 것이라며 우려하고 있다.유통기한 경과로 획일적으로 폐기처분되는 물량을 줄이는 득보다 수입품의 국내시장 잠식 피해가 더 걱정 된다는 얘기다. 〈李鍾台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