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쌀 민족끼리 먼저해결-관계장관회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북한에 대한 쌀 제공 문제와 관련,27일 오전 이홍구(李洪九)국무총리 주재로 관계장관회의를 열고『민족의 복리.복지에 관한 사안은 민족내부에서 우선적으로 다뤄지는 것이 소망스럽다』는 원칙을 확인했다.송태호(宋泰鎬)총리비서실장 은 이날 회의 결과를 이같이 발표하고 이어『아울러 정부는 국제사회에서의 대북(對北)지원은 인도적 차원의 지원이라 할지라도 남북관계의 특수성을 감안해 절차의 중요성을 인정하는 범위에서 신중히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원칙을 확인했다 』고 덧붙였다.
〈관계기사 8面〉 이와 관련,宋실장은『이 같은 원칙은 북한이쌀 지원을 요청한 구체적인 당사자가 일본으로 되어 있어 일본이인도적 차원에서 북한에 대한 지원을 하는데 이의가 없으나 남북관계에는 특수성이 있으니 남북협력과 대화가 증진되는 방향으로 해 줬으면 좋겠다는 기대와 희망을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宋실장은『이는 일본이 북한에 대한 쌀 지원을 추진한다 할지라도 한국과 협의해달라는 뜻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이날 회의에서는 나웅배(羅雄培)통일부총리로부터『북한이 한국쌀도 받아들일 수 있다는 입장임을 확인했다』는 보고를받고 『민족 내부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인도적 차원에서 쌀지원에 적극 나선다는 정부의지를 재확인했다』고 宋실장은 전했다. 宋실장은 또『앞으로 쌀 제공의 구체적인 추진에는 절차등 여러가지 문제가 있어 당연히 남북 당사자간 협의가 있어야 한다는데 의견이 모아졌다』고 전했다.
정부는 이에 따라 빠르면 29일 통일원차관 주재로 관계부처 실무자회의를 열어 대북 쌀제공 규모와 조건 절차등 구체적인 추진책을 협의하기로 했다.
한편 정부가 올해 양곡수급 현황을 파악한 결과 전년도 이월분8백25만섬을 비롯,금년 생산량 3천5백13만4천섬,세계무역기구(WTO)출범에 따른 의무도입량 35만6천섬등 올해 총 공급량이 4천3백51만5천섬에 달하며,수요량은 3천 6백50만4천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올 연말 재고량이 7백1만1천섬 정도 될 것으로 보고 북한이 우리측 제의에 응할 경우 이중에서 제공할 양을 구체적으로 정할 방침이다.
이날 회의에는 李총리와 羅부총리외에 공노명(孔魯明)외무장관,이석채(李錫采)재경원차관,유종하(柳宗夏)청와대외교안보수석등이 참석했다.
〈金基奉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