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여행>走馬燈-사물이 덧없이 빨리 돌아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0면

중국 사람들만큼 등(燈)을 즐기는 민족도 드물 것이다.전국시대부터 등을 달았다고 하니 무려 2천5백년의 역사가 되는 셈이다.명절이나 행사가 있을 때면 으레 길거리에 등불부터 내건다.
대표적인 것이 정월 대보름의 관등(觀燈)행사다.
중국은 주(周)나라 때부터 야간통금을 실시했다.그러다 보니 백성들이 겪는 불편이 많았다.그래서 통치자들은 백성들의 억압된심리도 풀어주고 또 태평성대를 과시하기 위해 명절만큼은 통금을해제하고 휘황찬란한 등을 궁성 주위에 내걸게 했다.
이때부터 차츰 등을 거는 기간도 늘어나 명 태조 주원장(朱元璋)은 10일간이나 걸게 했으며 지금은 설부터 대보름까지 무려15일간을 걸어둔다.
이 날 등장하는 등의 모양도 각양각색이다.각종 과일과 꽃.물고기 등….그중 대표적인 것을 들자면 역시 주마등(走馬燈)이 아닐까 싶다.
등 위에 둥근 원반을 올려놓고 원반의 가장자리를 따라 말이 달리는 그림을 붙여 늘어뜨린다.마치 영화의 필름처럼 연속동작의그림을 붙여 놓는 것이다.
밑에서 촛불을 밝히면 등 내부의 공기가 대류(對流)현상을 일으켜 원반을 돌게 한다.촛불의 밝기에 따라 회전속도도 빨라짐은물론이다.원반이 돌아가면 마치 만화영화를 보는 듯한 착각에 빠지게 된다.
말이 질주하는 모습이 연속동작으로 눈에 들어 오게 된다.그것이 走馬燈이다.
워낙 빨리 돌았으므로 走馬燈은 세월의 빠름이나 어떤 사물이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것을 형용하기도 한다.「마치 走馬燈처럼 스쳐 지나갔다」는 표현이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