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원 4년 새 1만 명 감소 확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에 비상이 걸렸다. 이명박 정부의 대입 자율화와 고교 다양화 정책이 ‘평준화’에 매달려 온 전교조의 입장과 정반대인 데다 조합원 수가 줄고, 견제 세력도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새 정부의 자율과 경쟁 교육 기조도 ‘교원평가제’ 반대에 올인했던 전교조에는 부담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25일 취임사에서 “교사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전교조는 27일 대의원 대회에서 조합원 수 현황이 담긴 감사보고서를 대의원들에게 제출했다. 노무현 정부 집권기간인 2003년부터 2007년까지 1만237명의 조합원이 줄어든 것으로 추산됐다는 것이다. 4년간 경기도 전체 전교조 교사 수(1만508명)가 사라진 셈이다.

2007년 탈퇴한 4305명 중 3403명이 1~3월에 집중됐다. 다른 학교로 옮긴 교사들이 학기 초에 집중적으로 탈퇴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지난해 12월 말까지 전국 278개 지회 가운데 141개(50.7%)가 지회장을 선출하지 못했다.

지회는 시·도를 여러 개로 나눠 각 지역의 학교를 총괄하는 조직이다. 전교조 관계자는 “학부모들이 보는 눈이 달라져서 드러내 놓고 활동하기 어렵기 때문”이라며 “조직의 절반이 마비된 상태”라고 진단했다.

2006년부터 반(反)전교조 활동을 벌여온 시민단체인 뉴라이트교사연합도 뉴라이트교원노조로 전환했다. 뉴라이트교원노조는 기존 교원 노조인 자유교직원노동조합과 한국교직원노동조합과의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 통합이 성사되면 회원 수 1만 명이 넘는 전교조 반대 세력이 등장할 수도 있다.

한양대 정진곤 교수는 “교단에 들어오는 신입 교사들의 성향이 보수화되고 있는 데다 투쟁 일변도의 전교조 활동에 대해 교사들 자신이 등을 돌리고 있다”며 “전교조가 자율과 경쟁을 바라는 시대의 흐름과 역행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강홍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