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조직법 협상은 계속한다만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손학규 통합민주당 대표<左>가 1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박상천 공동대표의 인사말을 듣고 있다. [사진=오종택 기자]

19일 한나라당과 통합민주당은 정부조직 개편안 협상 결렬의 책임을 상대방에게 떠넘기기 바빴다. 한나라당 강재섭 대표는 이날 의원총회에서 “(통합민주당이) 발목을 잡고 뒷다리를 거는 바람에 (새 정부가) 뒤뚱거리면서 출발하게 된 세계사에 없는 횡포”라고 비난했다. 강 대표는 “(대통령 당선인은) 현행법에 따라 국무위원들을 임명했으며 이는 법을 엄격히 지키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안상수 원내대표도 “다수당이라고 해서 새 정부의 출범조차 하지 못하게 하고 국민이 당선시킨 대통령을 일하지 못하게 하는 것은 탄핵과 다를 바 없다”고 비판했다. 김형오 대통령직 인수위 부위원장은 “통합민주당 손학규 대표가 자기가 대통령인 줄로 착각하고 있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하지만 손 대표는 이날 “(이 당선인의 장관 발표는) 한마디로 민주주의를 하지 않겠다는 얘기며, 야당을 국정 파트너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자세”라고 공격했다. 그는 “현행 법에 의해 모든 장관을 임명하지 않은 것은 직무유기며 법이 개정되지 않았으면 일단 현행대로 정부를 조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효석 원내대표도 “한나라당은 (당선인의) 거수기 신세가 됐다”며 “한나라당을 바지저고리로 만들려면 차라리 인수위가 직접 협상에 나오라”고 요구했다.

그럼에도 양당 모두 협상 중단을 선언하진 않았다. 끝내 파국으로 갈 경우 한나라당은 ‘집권당으로서 협상력 부재’에 대한 비판을, 통합민주당은 ‘새 정부 발목잡기 행태’에 대한 질타를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두 원내대표는 “협상은 계속된다”고 말했다. 다만 어떤 협상카드가 추가로 나올 수 있을지는 묵묵부답이다. 원내대표 라인뿐 아니라 물밑 협상 라인인 통합민주당 유인태-한나라당 이재오 의원도 이날 별다른 접촉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글=김정하·정강현 기자 , 사진=오종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