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작기행><저자는말한다>"위안부" 조지 힉스著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일본정부가 위안부 문제를 속시원하게 해결하지 않는 것도 야속하지만 지금까지 미온적으로 대처해온 피해국 정부들의 태도도 안타깝다. 위안부 문제는 지난 70년 오카무라 야스시 일본군 중장이 회고록을 통해 1932년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위안소를운영했다고 고백함으로써 처음으로 공론화되기 시작했다.그후로 양심적인 일본 역사학자들의 끈질긴 노력과 80년대말부터 시작된 한국의 민주화,한국과 일본의 페미니스트 운동 확산에 힘입어 이문제는 본격적인 논란의 대상이 되기에 이르렀다.
그전까지는 피해 여성들이 나서기를 꺼려한 데도 원인이 있지만한국.중국.대만등 당사국 정부들이 일본과의 투자계약이나 무역거래등을 의식해 굳이 드러내지 않으려 했기 때문에 이슈가 되지 못했다. 아시아 각국에서 일본측에 위안부 동원을 시인하고 사죄와 보상을 하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일본정부는 시종 부인으로 일관하고 있다.태평양전쟁 당시 부대에 위안소가 갖춰졌던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민간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기때문에 정부의 사과 대상이 되지 못한다는 주장이다.
지난 92년 1월10일에도 저녁 뉴스를 통해 일본은 정부차원에서 위안부를 모집한 사실이 없다는 내용의 정부대변인 발표를 내보냈다.이번에는 역사학자 요시키 요시아키가 들고 일어났다.그는 이미 자위대 도서관에서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군 사령부의 위안소건설명령서를 두 눈으로 확인해놓고 있던 참이었다.이 명령서는 그 이튿날 아사히신문에 게재돼 일본 정계를 발칵 뒤집어 놓았다.진실은 끝내 이기고 만다는 진리가 확인되는 순간이었다.그러나 여태까지 일본은 피해자 개인에 대 한 보상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鎭〉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