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경협 民間기구 설립-통일관계장관회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는 19일 남북경협의 과당경쟁을 막고 질서있는 남북경협을위해 민간 차원의 자율 조정기구인 남북경협협의회(가칭)를 설립,추진키로 했다.
남북경협에 참여하고 있는 대기업과 중소기업,그리고 경제단체등이 참여하는 이 협의 기구는 향후 ▲과당경쟁 자제▲업무 영역 조정▲對정부 건의등 민간차원의 자율적인 남북경협을 담당하게 된다. 정부는 이날 오전 삼청동 남북대화사무국에서 김덕(金悳)부총리겸 통일원 장관 주재로 통일원.재정경제원등 관련 부처 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통일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
송영대(宋榮大)통일원 차관은『민간차원의 자율 조정기구의 참여범위와 기능등은 추후 경제단체등과 협의,결정하게 될 것이며 정부는 일절 간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날 회의에선 갑작스런 통일에 대비,통일원.재정경제원.환경처등 15개 부처에서 20여명의 통일대비요원을 선발,독일.러시아.미국등에 파견키로 했다.
사무관급 통일대비요원은 독일.러시아.일본등에서 3~6개월간 본격적인 남북통합 대비책을 연구하게 된다.
정부는 또 효율적인 對북경수로 지원체제 구축을 위해 통일원.
외무부등 관련부처에서 파견돼 40여명으로 구성된 경수로사업지원기획단을 오는 23일 정식 발족키로 했다.
宋차관은 『이날 회의에서 북한이 지금처럼 對남 비방을 계속하면 경수로 지원 사업이 원활히 추진되기 힘들지 않겠느냐는 우려가 있었다』고 경고했다.
한편 정부는 올해 對북정책 목표를 실질적인 남북관계 개선에 두고 이를 위해 국제공조체제 강화와 질서있는 남북경협 추진등을통해 북한을 국제사회의 책임있는 일원으로 인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
〈崔源起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