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체제 多者안보협력통해 보장-외무부 내일 정책협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는 北-美간 핵합의가 한반도에 항구적인 평화체제를 구축할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판단,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본격적인 대책마련에 나섰다.
정부의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방안은 지난 91년 12월 남북한간에 체결된 남북기본합의서에 따라 남북한간 대화를 통해 평화체제를 구축하며 이를 남북한과 美.日.中.러 등 주변 4강국이 포함된 동북아다자안보협력을 통해 국제적으로 보장받 는다는 내용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위해 외무부는 6일 한남동 외무장관 공관에서 한승주(韓昇洲)외무장관 주재로 한승수(韓昇洙)주미대사.공노명(孔魯明)주일대사.황병태(黃秉泰)주중대사.김석규(金奭圭)주러시아대사가 참석하는 집중 정책협의를 가질 예정이다.
외무부 당국자는『이번 회의에선 남북한평화체제 구축과 이를 동북아다자안보협력을 통해 추인받는 전략을 달성하기 위해 우리 정부의 동북아다자안보대화 구상에 대한 4강국 정부의 입장을 집중검토,동북아다자안보대화를 구체적으로 추진할 전술 을 마련하는데논의의 초점을 모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동북아다자안보대화는 현재 정부차원과 민간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데 민간차원의 대화에는 韓.美.日3국과 러시아가 참여하고 있으며 정부차원의 대화에는 韓.美.日3국이 참여하고 있다.
한편 정부는 최근 민간차원의 동북아다자안보대화에 북한도 참여시키기 위해 초청장을 보냈으나 북한이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아 무산된 바 있다.
이에 앞서 외무부는 5일 외교안보연구원에서 韓장관과 4강대사,학계.언론계 인사들이 참석하는「북미 합의 이후 4강의 대한반도 정책변화와 대응전략」이라는 주제로 비공개 정책토론회를 가졌다. 〈康英鎭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