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일자리 78%가 임시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지난해 경북지역에 새로 만들어진 일자리의 78.2%가 임시직으로 나타났다.

국회 행정자치위원회 안경률(한나라, 부산 해운대·기장) 의원은 29일 경북도 국정감사에서 2006년 한해 경북의 새 일자리 5만3104개 중 무려 4만151개(78.2%)가 임시직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정규직은 21.8%인 1만1586개에 그쳤다.

사업별로는 산업단지 조성, 국내외 기업 유치, 사회간접자본(SOC) 사업, 직업능력 배양 등으로 일자리를 창출한 실적은 전체 중 21.2%에 그치지만 정규직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8806명으로 80.4%를 차지했다.

 반면 공공근로, 각종 복지시설 확충 등 사회적 일자리 창출은 3만4600명으로 일자리 수로는 65.2%를 차지하지만 그 중 임시직은 3만3237명이나 돼 전체 임시직의 96.1%를 차지했다.

안 의원은 “공공근로 등 임시 방편으로 만드는 일자리는 예산 낭비 소지가 크고 비정규직만 양산할 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경북은 유사 성행위업소가 증가하고 있으나 단속은 소홀하다고 지적했다.
지역의 안마시술소·스포츠마사지 등 유사 성행위업소는 2004년 56개소에서 지난 7월 133개로 2.4배 급증했다는 것. 지역별로는 포항 2.8배, 구미·경주 2.5배, 안동 2.2배가 증가했다. 또 한 곳도 없던 칠곡·문경에 8곳, 4곳이 각각 생기는 등 확산 추세였다.

그러나 성매매 검거 실적은 2004년 839명, 2005년 537명, 2007년 749명으로 오히려 줄어들었다.

이는 전국의 검거 실적이 2004년 1만6947명에서 2006년 3만4795명으로 105% 증가한 것과 대조적이다. 안 의원은 “경북경찰청이 2004년 이후 최근까지 이들 업소를 한 차례도 특별단속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송의호·황선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