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택지 사업승인 작년의 11배 수도권 미분양 확산 우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올 8월 수도권 민간택지에서만 1만4808가구의 아파트가 사업승인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양가 상한제를 피하기 위해 승인신청이 몰리면서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1342가구)보다 11배 늘어난 것이다. 이 물량들은 11월 말까지 분양 승인 신청을 마치고 내년 상반기까지 대부분 시장에 쏟아져 나올 전망이다. 이에 따라 수도권 등의 미분양을 더욱 부추길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9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8월에 수도권에서 주택사업승인을 받은 물량은 2만8290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1만1450가구)보다 147%, 전달보다 45% 늘었다. 공공택지 1만3482가구, 민간택지 1만4808가구다. 건교부는 “분양가 상한제를 피하기 위한 물량이 몰린 데다 다세대·다가구 건축 규제가 풀린 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9월부터 시행 중인 분양가 상한제를 피하려면 올 8월 말까지 사업승인 신청을 하고 11월 말까지 분양승인 신청을 마쳐야 한다. 최근 분양승인 신청 마감 기간을 연장(올 11월→내년 4월)하는 방안이 의원 입법으로 국회에 제출됐지만 건교부가 반대하고 있어 통과 여부는 불투명하다. 이에 따라 다음달부터 수도권에 아파트 분양 물량이 쏟아질 전망이다.

하지만 청약가점제 시행으로 청약 예정자들이 극심한 눈치보기 등 청약 통장 사용을 자제하고 있어 미분양이 더욱 심해질 가능성이 크다.

실제 지난달 19∼21일 청약한 서울 서초동 롯데캐슬메디치 주상복합아파트는 50가구 모집에 3순위까지 청약자가 단 2명에 그치기도 했다.

윤창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