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높이를 낮추는 지혜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26호 18면

증시가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충격에서 일단 벗어나면서 주식형 펀드들의 수익도 다시 쑥쑥 불어나고 있다. 국내 주식형 펀드의 연초 이후 지난 주말까지 수익률은 평균 37%를 기록하고 있다. 이 정도면 ‘대박’이라 부를 만하다.

최고의 수익을 낸 펀드는 한국밸류자산의 ‘10년투자주식’이다. 수익률이 무려 53%에 달한다. 그러나 이 펀드를 굴리는 이채원 전무는 “비정상적인 수익”이라고 잘라 말한다. 그도 그럴 것이 이 전무가 지난해 이 펀드를 처음 만들면서 설정해둔 목표 수익률은 연간 10∼15% 선이었다고 한다.

이 전무는 “올 상반기와 같은 시세는 10년에 한 번 나올까 말까 한 것”이라며 “투자자들의 기대치가 너무 높아져 걱정”이라고 말했다. 요즘 증권사 관계자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고객 상당수가 연 40∼50%의 수익을 당연한 것으로 여긴다고 한다. 하지만 과욕은 언제나 화를 불렀던 게 투자의 역사였다.

그러면 펀드나 주식에 투자할 때 목표 수익은 어느 정도로 설정하는 게 좋을까. 전문가들은 시중 실세 금리의 3배 정도가 적당하다고 조언한다. 현재 실세 금리가 5%대인 점을 감안하면 15% 정도가 적절하며, 욕심을 부리더라도 20% 이상은 지나치다는 것이다. 이는 아무리 잘나가는 기업도 장기적으로 보면 순이익 증가세가 연평균 20%를 넘기는 힘들다는 사실과 맥을 같이한다.

미국에서도 비슷한 조사 결과가 나왔다. 다우지수가 1000대에서 1만3000대에 도달한 지난 20년간 고수익을 낸 펀드들을 추적한 결과 연평균 수익률은 15% 선이었다. 워런 버핏이나 피터 린치 같은 투자 달인의 수익률도 연평균 20% 선에 머물렀다.

그 정도 갖고 어떻게 만족하느냐는 이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 투자 성과를 보면 입이 떡 벌어진다. 1억원을 넣어 20년간 매년 20%씩 수익을 내며 재투자했을 때 돈은 얼마로 불어날까? 무려 38억3400만원이 된다. 수익률을 15%로 낮춰도 16억3700만원을 손에 쥐게 된다. 우리 주변에도 20년 넘게 주식 투자를 해온 사람이 많지만, 이런 성과를 냈다는 얘기는 들을 수 없다. 모두들 연 15∼20%의 수익을 우습게 보고, 대박 환상을 좇아 무리수를 두다 낭패를 봤기 때문일 게다.

올 들어 운 좋게 맞았던 대박 잔치는 이제 서서히 막을 내리는 것 같다. 지난 주말 미국의 고용 통계에서 보듯,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의 파장이 점차 실물경제로 번지는 양상이다. 미국 주택 버블의 붕괴는 글로벌 경제에 예상보다 큰 상처를 남길 수도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할 것 같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금리를 내리더라도 만병통치약이 될 순 없다. 상처가 아무는 데 시간이 꽤 걸릴 수도 있다. 목표 수익률을 낮추고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가는 투자 자세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