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美 금리인상 왜 자주하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18일을 기해 전격 단행된 미국의 금리인상조치는 급격한 경제호황에 따른 인플레를 조기에 억제하되 안정적 성장기조는 유지하겠다는 一石二鳥의 중립적 효과를 노린 것으로 볼수 있다.만성적인 무역.연방적자에 허덕이던 미국은 작년말부터 연 평균 3~4%의 경기회복을 거듭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10~12월에는 연 7%라는 기록적인 성장률을 기록했다.그러나 클린턴 행정부는 고심끝에 너무 빨리 진행되는 회복국면의 부작용을 우려,金利조정을 통해 가까운 장래에 다가올인플레를 방지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성장기조를 이끌 어 나가겠다는안정책을 선택했다.
이에 따라 금융가에서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조만간 금리를 또다시 4% 수준까지 끌어 올릴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대다수 경제 전문가들은 올해 미국 경제성장이 추가 금리 인상여부에 상관없이 연 4%에 육박할 것으로 내다보 고 있다.
〈奉華植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