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고구려는 우리 역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9면

중국이 고구려사를 자기네 역사에 넣으려는 계획을 구체화하며 우리나라와 갈등을 일으키고 있다. 중국은 2002년 2월부터 국가 차원의 '동북공정(東北工程)'이란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고구려를 중국의 지방정권으로 규정한 데 이어, 최근엔 자국 안의 고구려 유적을 유네스코(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 지정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해줄 것을 신청했다. 이러한 역사 왜곡에 대응해 고구려가 중국과 맞서 어떻게 나라의 정체성을 확립했고, 동북공정의 배경은 무엇인지 등을 공부한다.

고구려(高句麗)!

"왜 한국인은 고구려를 떠올리기만 하면 가슴이 뛰는 걸까? 고구려의 역사와 그 대지에 대한 그리움 때문일 것이다."

'한 권으로 읽는 고구려 왕조실록'의 저자 박영규씨의 말이다.

고구려는 졸본(卒本.중국의 환런)에서 일어나 한반도 북부와 중국 둥베이(東北) 지방을 무대로 발전한 우리나라 고대국가의 하나다.

서기전 37년에 북부여의 주몽(동명성왕)이 이끄는 부여족의 한 갈래가 세운 뒤 668년 28대 보장왕(재위 642~668) 때 나당(羅唐) 연합군에 패해 신라에 의해 통일되기까지 7백년이 넘는 역사를 가졌다.

고구려는 일찍이 졸본에서 동방 진출의 요로인 퉁거우(通溝)로 옮긴 뒤 한족(漢族)과의 투쟁 과정에서 강대해졌다. 중국에선 이 기간에 한(漢.서기전 202~서기 220)부터 당(618~907)에 이르기까지 수십개의 나라가 명멸했지만 고구려는 대륙의 북방을 호령하며 우뚝 서 있었다.

소수림왕(재위 371~384) 때 불교 공인과 국립교육기관인 태학 설립(372), 율령 반포(373) 등으로 백제.신라 등 삼국 가운데 가장 먼저 고대국가 체제를 갖췄다.

이 같은 기반 위에 출발한 광개토대왕(재위 391~413)은 북으로 요동(遼東)을 차지하고, 만주와 한반도에서 우월한 지위를 확보했다.

그의 아들 장수왕(재위 413~491)은 외교관계를 확대해 중국을 견제했다. 427년엔 남하정책의 일환으로 수도를 평양으로 옮겨 중앙집권적 정치기구를 정비했다.

문자명왕(재위 491~519)은 494년 부여(夫餘)를 복속시켜 만주와 한반도에 걸친 광대한 영토를 지배했다.퉁거우에 있는 광개토대왕비와 충북 충주의 중원 고구려비(국보 제205호)가 당시의 판도를 밝혀주고 있다.

고구려는 이후 신라의 북진정책에 막히자 남하를 포기하고 서진을 단행, 먼저 수(隋.581~618)의 요서(遼西) 지역을 공격했다. 이에 수는 고구려를 세 차례 침공했으나 을지문덕 장군 등에 의해 패퇴했다. 고구려와의 싸움에 져 쇠약해진 수나라는 618년 내란으로 망하고 당이 들어섰다.

고구려는 수의 치욕을 씻으려는 당 태종에 의해 수차례 공격받지만 모두 이겼다. 그러나 고구려는 70여년에 걸친 수.당 및 거란.신라와의 전쟁으로 국력이 약해져 마침내 668년 나당 연합군에 패함으로써 막을 내리고 통일신라 시대가 열렸다.

?생각 키우기

본지에 19일자부터 다섯 차례 연재된 '고구려는 살아있다'시리즈 등을 참고하세요.

①고구려 발전 과정을 영토 확장 중심으로 알아 보고, 도성과 수도를 표시하며 전성기(5세기) 지도를 백지도에 그려 보세요.

②고구려의 탄생부터 멸망까지 중국 왕조의 변천 과정을 표로 만든 뒤 그들과의 외교 관계도 간단히 정리하세요(모둠 활동).

③고구려 문화는 영토가 넓은 만큼 호방하고 진취적이어서 활력이 넘쳤습니다. 사상적으로는 불교와 유교.도교를 받아들이는 등 외래 문화를 적극 수용해 독자적인 문화로 재창출했지요. 고구려의 이러한 문화적 특징을 잘 나타내는 유적.유물들을 아는 대로 들어 보세요.

④고구려가 삼국을 통일했다면 지금 우리나라의 모습은 어떻게 변했을까요?

⑤북한과 중국은 자국 안의 고구려 유적을 각각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해줄 것을 신청해 놓은 상태입니다. 남한의 고구려 유적 가운데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 추천하고 싶은 것을 들어 보세요.

⑥중국 주장대로 고구려사가 중국에 편입된다면 우리 역사는 어떻게 되며, 중국이 동북공정을 추진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따져보세요.

⑦중국은 기록에 근거해 고구려사를 자기네 역사로 증명하려고 노력하지만 우리는 기록면에서 약하기 때문에 신화나 전설.풍수지리 등을 통해 접근하는 편입니다. 이에 대해 학계.정부 입장이 되어 체계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해 봅시다.

⑧고구려사가 우리 역사라는 사실을 국내외적으로 거부감 없이 알리기 위한 방법을 마련해 보세요. 고구려 역사 지키기 사이버 운동에 동참하는 것도 좋아요.

☞'광개토대왕 우표'등 고구려 유적이나 인물 등을 담은 우표 발행 등.

⑨국사를 모르면 나라의 정체성을 깨닫지 못하게 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초.중학교에선 국사를 별도로 가르치지 않고, 고등학교에서도 선택과목으로 밀려났습니다. 국사를 초.중.고교 과정에 필수로 넣는다면 어떤지 의견을 6백자 정도로 요약해 보세요.

⑩'고구려=자국의 지방정권'이라는 중국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반박하는 글을 1천2백자 안팎으로 써 보세요.

이태종 NIE 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