總통화 시대가고 金값 중시 시대온다-美중앙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총통화()시대가 가고 있다.
적정 통화량이 어느 정도냐를 놓고 말도 많은 가운데 인플레를예고하는 지표로「통화량 대신 금값 변동을 重視할 것」이라는 주장이 미국의 중앙은행에서 제기됐다.
지난달 미국 聯準 그린스펀 의장은 의회에 낸 통화정책 보고서에서『금값이 미래의 인플레를 예고하는 아주 유용한 지표중의 하나』라고 언급했다.미국의 경우 물가가 안정(93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2.7%)돼 있고 증가율도 2%대로 낮지만 금값이 지난해말부터 前年同期에 비해 두자리수의 증가율(14~17%)을 보이며 올라(현재 온스당 3백91달러)심상치 않자 聯準이「물가오름세를 미리 잡아야 한다」며 지난 2월4일,3월22일 두차례 연방기금 목표금리를 인상하면서 긴축기 조로 전환한 것이다.
미국이나 우리 모두 자꾸만 전체 유동성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이 떨어지고 있는 를 통화관리 지표로 삼고 있는데다 경기가 살아나면서 인플레가 우려되고 있는 판이다.따라서 미국 聯準에서 금값 움직임을 보고 일찌감치 긴축기조로 돌아선 것 은 「통화증가율이 높아지니까 자장면 값을 덩달아 올렸다」는 자장면 가게 주인의 가격인상법까지 이야기되는 우리도 참고로 삼을 만하다.
최근 우리나라 금 소매값도 돈쭝당(3.75g) 4만6천9백98원으로 작년 3월(4만2천원)에 비해 11.9%가 올라 있다(대한상의 조사자료).실명제 이후 급등한 금값이 아직도 그대로인데 실명제와 금리자유화를 하면서 시중에 돈이 많이 풀렸다.
〈梁在燦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