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후보 "기자실 키워야지 … 임기 말 왜 그러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범여권을 포함한 정치권이 한목소리로 정부의 '취재지원 시스템 선진화' 방안을 강력 비판하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관계기사 5면>

이명박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는 24일 정부의 기자실 통폐합 조치에 대해 "지금 조치는 민주사회, 열린 사회에선 안 될 일"이라며 "집권하면 (정부 조치 이전 상황으로) 복원하겠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여의도 한나라당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기자실을 오히려 더 키워야 하지 않겠느냐"라며 "오히려 내가 취재 좀 하자. 도대체 임기 말에 (노무현 대통령이) 왜 그러는 것 같으냐"고 되물었다.

한나라당은 이날 김창호 국정홍보처장 파면 요구 결의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한나라당은 결의안에서 "55억원이 넘는 세금을 들여 기자실을 강제로 통폐합하고 기자등록제 시행 등으로 언론자유를 심각히 위협한 김 처장은 더 이상 처장직을 수행할 수 없을 만큼 중대한 흠결이 있다"고 주장했다. 또 "국민의 감시를 받아야 할 정부를 국민의 눈길이 닿지 않는 성역으로 만들어 놓았다"며 "이는 취재 지원이 아니라 취재방해, 선진화가 아닌 퇴보로 반민주.반역사.반헌법.반동적 조치"라고 주장했다.

열린우리당 출신이 대부분인 민주신당은 이날 열린 최고위원 회의에서 "언론계가 한목소리로 반대하는 정책을 정부가 일방적으로 밀어붙이는 것은 옳지 않으며, 언론단체와 진지하게 협의해 합리적인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이낙연 대변인이 발표했다.

이 대변인은 "정부가 지적하는 기자실의 폐해가 과거에는 적지 않았으나, 언론계의 현실이 급격히 변화해 과거의 폐해는 이제 거의 사라진 만큼 정부는 변화한 현실을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다음 달부터 시작될 국정감사에서 기자실 폐쇄의 부당성을 철저히 따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최인기 원내대표는 "정부 조치는 노 대통령의 언론에 대한 막가파식 보복 폭행이고 언론과의 전쟁을 선포한 것"이라며 "언론을 통제하면서 독재를 했던 5공 시절의 언론정책으로 회귀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욱.고정애 기자
사진-=오종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