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실 통폐합 주도한 홍보처 취재 지원 명목 대규모 증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국정홍보처가 기자실 통폐합을 강행하면서 '취재 지원'을 명분으로 대규모 인력 증원에 나서 논란이 일고 있다.

정부는 14일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고 국정홍보처 직원 35명을 늘리는 직제 개정안을 처리했다. 홍보처 총인원 329명의 10.6%에 해당하는 규모다. 해외홍보원과 KTV를 제외한 본부의 경우 현 인원 166명에 28명이 추가돼 증원율이 17%에 이른다.

개정안에 따르면 홍보처는 합동브리핑센터 관리를 위해 홍보기획단을 정책홍보관리실로 개편하고 인력도 19명 늘리기로 했다. 이 중 5급 이상이 7명이나 된다. 또 신문과 방송의 보도 분석을 담당하는 홍보분석관을 홍보분석단으로 확대 개편하고 실무인력 9명을 추가 투입하기로 했다. 정책방송 제작기능 강화를 위해 KTV의 명칭도 한국정책방송원으로 바꾸고 프로그램 제작 인력도 7명 증원하기로 했다. 행정자치부도 기자들의 통합브리핑센터 출입을 관리하기 위해 방호요원 14명을 새로 뽑기로 했다.

김창호 국정홍보처장은 "홍보처 인력 증원은 기자들에게 최대한의 취재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언론계와 학계에서는 "홍보처가 취재 지원을 명분으로 조직을 확대하려는 것"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박천일 숙명여대 교수는 "국민 눈에는 홍보처의 인력 증원이 조직이기주의로밖에 비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홍보처의 직제 개정안이 국무회의 당일에 급하게 상정돼 인력 증원을 숨기려 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통상 국무회의 안건은 회의 전날 공개되는데 13일 배포한 국무회의 자료에는 홍보처 직제 개정안이 없었다.

김 처장은 "국무회의 상정 여부가 13일 저녁 늦게 결정됐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박신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