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김상선 기자의 새만금 이야기] 간척 對 보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간척 對 보존
갯벌의 간척을 놓고 정부와 사회환경단체간의 가치 논쟁은 뜨겁다.

정부는 간척의 이유를 다음과 같이 말한다.
첫째 영토가 확장된다는 것이다. 바다나 갯벌을 매립하면 그 만큼 '땅'이 넓어진다는 뜻이다. 땅이 넓어진 만큼 나라의 수역이 조정돼 국토 확장에 따른 바다에서 국가가 갖는 권한이 확대된다는 것이다.

둘째, 농지 확보를 통한 식량 생산의 전지 기지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매년 도로, 주택, 산업용지로 농지가 사라져, 해를 거듭할수록 식량 생산이 줄고 있어 이를 만회할 수 있는 농지확보의 수단으로 바다와 갯벌 간척이 최적이 이라는 것이다.

국제 무역 거래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쌀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은 국가적 안보를 대비하는 일이라고까지 한다.

셋째, 바다 간척은 건설비용을 적게 들이면서 한 번에 많은 토지를 확보할 수 있다고 한다. 굴곡 없이 드넓은 바다를 매립하는 것은 물길만 막으면 대단위로 토지가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공사 기간이 짧고 효과는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정부가 주장하는 개발의 타당성을 사회환경단체들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단지 쌀을 생산하기 위해 수 천년의 바다 침식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갯벌의 가치를 망각한 일이라고 말한다.

날이 갈수록 국민들의 쌀 소비는 줄어 매년 재고가 남아 돈다고 한다. 이런 상황에서 쌀을 확보하기 위해 농지를 만든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는 것이다.

수 천년 동안 오랜 침식 작용을 통해 만들어진 갯벌이 공사의 용이성과 주민의 민원이 적게 작용한다는 이유만으로 사라져도 된다는 것은 바다 생태적 가치를 망각한 일이다. 갯벌은 단지 조개가 사는 뻘 밭이 아니다. 뿐만 아니라 '버려진 땅'도 아니다.

선진국에서는 오히려 갯벌의 보존을 위해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몇몇 나라에서는 갯벌의 환경적 가치를 인정하고, 나아가 갯벌을 아예 생태공원으로 만들고 국가가 관리하는 국립공원화를 서두르고 있다.

사진.글=김상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