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플@비즈] 삼성 따라잡기 다음은 … “GE를 벤치마킹하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김준기 동부 회장(左)이 경기도 광주 인재개발원에서 임직원들의 혁신 사례 발표를 듣고 있다.

김준기(63) 동부그룹 회장은 16일 경기도 광주 동부그룹 인재개발원에서 열린 ‘제1회 동부 베스트 프랙티스 발표대회’를 주재했다. 이 자리는 경영개선 활동인 ‘6 시그마 운동’에서 선정된 우수 혁신 사례를 소개하고, 현장 업무 개선 의지를 전 임직원이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 회장은 강평에서 “높은 성과를 올리는 데는 미 GE 같은 선진 기업의 아이디어를 벤치마킹해 그룹 내에 전파하고, 그룹 내의 경영 우수 사례를 계열사 간에 확산시키는 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계 최고 제품과 사업을 만들기 위해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을 해 나가자”는 당부도 곁들였다.

 동부 관계자는 “김 회장 발언의 방점이 ‘성과’와 ‘GE’에 있다는 점을 눈여겨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수년 간 삼성식 시스템 경영 갖추기에 주력해 온 김 회장의 관심이 GE식 성과주의로 옮겨가고 있다는 것이다.

 1997년 외환위기를 넘긴 김 회장은 2001년부터 매년 삼성 출신 임원들을 대거 영입하는 방법을 통해 ‘삼성 따라잡기’에 나섰다. ‘시스템 경영의 전도사’라는 이명환 전 삼성SDS 대표를 ㈜동부의 부회장으로 영입한 게 대표적 사례. 그러나 김 회장은 최근 이런 경영 혁신 인프라가 현장의 구체적 성과로 이어져야 한다는 생각에 ‘제 2의 경영혁신’에 나서고 있다는 것이다. 우선 지난해 말 이 부회장을 고문으로 내보내고, 최근에는 현장 실무형 인재를 앞세운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동부는 최근 최고 인재·앞선 제도·고객 중심·기술 중시·글로벌화 5대 혁신 과제를 정했다. 또 제조·서비스·금융 3대 사업분야 별로 최고 혁신책임자인 CIO(Chief Innovation Officer)를 두는 등 현장 중심의 경영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동부의 이런 변화의 배경에는 삼성식 시스템을 접목시키는 과정에서 기존 조직과 불협화음을 빚거나 상명하달식의 경직된 사내 문화가 생기는 등 각종 부작용이 고려됐다는 게 그룹 안팎의 분석이다.

이현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