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방송 TV신설 자제해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올해는 지역민방 설립문제, CATV실시, AFKN채널 환수, 종교방송 TV국 허가여부 등 어느 때보다 격심한 방송구조의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민자당 정책위원회가 발표한 새 정부의 방송정책 안에는 ▲유선방송 올 상반기 중 허가 ▲종교방송의 TV방송국 불허 방침 이외의 정책들은 아직 확정 안 없이 검토단계에 있어 앞으로의 우리 방송 청사진에 대한 궁금증을 더해 주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국방송학회는 10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한국방송,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는 주제의 토론회를 열고 새 정부의 방송정책 방향을 제시해 주목을 끌었다.
이 토론회에서는 ▲종교방송 설립문제 ▲다 매체시대의 방송·통신행정의 일원화방안 ▲뉴 미디어 관련 투자방향 ▲교육방송의 개선 방안 등 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주제 발표자로 나선 김우룡 외국어대·교수는『우리나라와 같은 다원종교 사회에서 종파마다 방송국을 허가해 주는 것이 부족한 전파사정을 감안 할 때 타당한지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라면서『종교방송이 난립하게 된 것은 선거 때마다 표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방송국허가를 이용한 지금까지의 잘못된 정치관행이 큰 원인이 된 만큼 정치권으로부터 독립된 방송정책 결정기구 설립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또 방송과 통신행정에 대해서는『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방송정책은 공보처, 통신행정은 체신부로 나뉘어 있는 나라』라면서『새 정부는 방송과 통신의 유기적 결합이 요체인 다 매체시대를 앞두고 있는 만큼 통합기구를 만들어 행정의 일원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주제발표자인 홍기선 고려대 교수는 개선 여론이 폭넓게 형성되고 있는 교육방송에 대해『현재 교육방송은 교육부 산하기관으로 돼 있기 때문에 공중파 방송을 학교 방송으로 한정짓는 폐단이 있다』고 진단하고 보다 폭넓은 층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교육방송공사의 설립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한편 토론자들은 현정부의 뉴 미디어 정책에 대해『기술개발과 같은 하드웨어 쪽의 투자는 활발한데 비해 인력의 재교육과 같은 소프트웨어 쪽의 투자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진단하고『새 정부의 뉴 미디어정책은 인력 재교육에 투자를 늘리는 방향으로 나가야 할 것」이라는데 의견을 모았다. <남재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