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경제교육」부실”/주당 2시간뿐/선진국에 학력 크게 뒤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경제를 살리자는 얘기가 곳곳에서 나오고 차기정부도 경제분야에 가장 중점을 두겠다는 약속을 하고 있지만 우리 학교교육에서 경제는 여전히 홀대를 받고 있다. 더구나 교과과정이 개편돼 독립 선택과목으로 될 경우 학생들이 득점을 고려해 아예 기피할 우려마저 있어 경제교육을 강화하는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고등학교교과과정에서 경제과목은 1주일에 2시간씩 두학기 정도 배우는 것으로 끝나 영어·수학 등 주요과목은 물론 교련이나 체육시간에도 못미친다. 그나마 교과서는 실생활과 동떨어진 이론중심이며 사회과교사중 경제관련 전공자는 10명중 2명도 안된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최근 신문에 자주 등장하는 성장·안정논쟁,금리자유화논쟁 등에 대해선 대충 이해하기도 힘들다. 또 지하경제 근절·금융실명제·토지공개념 등 우리 경제의 구조적 문제를 다룬 내용은 교과서에서 단어조차 찾아볼 수 없다.
국민경제교육연구소가 지난해 전국 고교생 5천여명을 대상으로 실제 경제현상과 관련된 사례중심으로 총 46개 문항을 출제,국제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 고교생의 정답수는 평균 23개 정도로 영국(평균 30개) 등 다른 선진국에 비해 5∼7개가 낮았으며 경제를 배우지 않아도 되는 미국과 비슷한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교에 들어와 경제부문을 배우지 않은 학생과 이미 수강한 학생들과의 정오차이가 불과 2∼3개밖에 되지 않아 실제 경제현상을 이해하는데 고등학교과정이 별 도움이 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개발원의 김정호선임연구원은 『새 교과서에선 이론보다 현실이 중시돼야 하고 학생들과 교사들로부터 외면당하지 않으려면 실제 경제현상에 대한 이해력을 묻는 문제를 대입수학능력시험에서라도 최대한 반영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정철근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