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매니저에게묻는다] ⑦ '신영마라톤주식펀드' 허남권 본부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0면

Q: 편입 종목 93개, 다른 펀드에 비해 많은데 …

마라톤은 자신과의 싸움이다. 42.195km의 고독한 순간을 견뎌내야만 한다. 신영투신운용의 '신영마라톤주식펀드'도 그렇다. 단기 수익률에서 반짝 남보다 앞서는 게 아니라 장기적으로 안정적 성과를 내는 것이 목표다. 그 결과 3년 수익률이 상위 1%다. 이 운용사 허남권(사진) 주식운용본부장을 만나 펀드 운용 전략을 들어봤다.

-최근 성적이 안 좋다(※2002년 4월 설정 이후 누적수익률이 줄곧 상위 10% 이내, 그러나 최근 1개월 수익률은 상위 30%).

"그래도 평균보다 잘하지 않나. 우리 펀드 목표는 다른 펀드를 이기는 게 아니다. 시황에 관계없이 투자자들에게 금리 이상의 수익을 안정적으로 주는 거다. 지수 예측은 안 하고 중장기적으로 투자가치가 높은 저평가주를 매수해서 보유하는 전략이다. 상승기에는 보통 성적이 상대적으로 안 좋다. 그러나 하락기에는 수익률 방어를 잘한다."

-편입 종목이 좀 많은데(※이달 6일 현재 93개. 보통 주식형 펀드는 40~50개 종목 편입).

"안정성 때문이다. 우리는 회사 가치를 보고 편입 여부를 결정한다. 그러나 가격 판단은 시장이 한다. 어느 주식이 언제 얼마나 갈지는 시장이 아는 거다. 똑같이 1~2%를 편입하면 특정 종목에 휘둘리지 않게 된다. 종목을 분산해 변동성을 낮춰 위험을 줄인다."

-종목은 얼마나 자주 사고 파나.

"다른 펀드의 30% 수준이다. 보유 기간이 길다. 펀드 초기에 편입한 20여 개 종목은 5년이 지난 지금도 안 팔고 있다. 성공한 투자는 안 팔아도 되는 주식을 갖고 있는 거다. 주가가 올라도 그 주가를 기업의 가치가 설명해 줄 수 있으면 팔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현대중공업을 3만 원대에 샀는데 12만 원이 됐어도 기업 가치가 좋아진 덕분에 주가가 결코 비싸지 않았다. 그래서 안 팔고 들고 갔다. 팔아서 다른 주식을 사는 것도 리스크다. 이상적으로 말하자면 팔 필요가 없는 주식들로 펀드를 채우는 게 꿈이다."

-주주총회에서 반대 의견 낸 적이 별로 없더라.

"목소리 안 낸다. 경영이 마음에 안 들면 팔면 된다. 투자 기업은 사업의 파트너다. 기업이 잘 되면 그만큼 주가가 올라가 펀드가 잘 되는 거다. 과거 보유한 종목이 바이오 기업과 합병한다고 해서 갑자기 주가가 5배까지 치솟은 적이 있었다. 우리는 두 배 정도 수익냈을 때 미련없이 팔고 나왔다. 바이오 테마 열풍이 불던 때라 3~4배는 갈 거라고 생각했지만, 그건 우리의 투자 원칙에서 벗어나는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투자자에게 당부 한 마디.

"주가는 그림자다. 믿을 수가 없다. 하루 중 언제냐에 따라 짧아질 수도 길어질 수도있다. 그러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우리 펀드는 주식이 아니라 기업을 산다. 따라서 투자자들도 부동산 투자한다는 마음으로 여유를 가지고 투자해라. 단기 등락에 개의치 말고."

고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