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기로에 선 골프 대중화 정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골프는 사치성 오락인가, 아니면 대중성 스포츠인가.
골프가 우리 나라에 도입된지도 어언 7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 여전히 일부 특권층의 사교스포츠라는 인식이 국민들 사이에 뿌리깊게 박혀있어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골프계는 골프인구가 1백만명을 돌파하고 체육청소년부가 관장할 만큼 스포츠로 자리잡았음에도 골프가 아직까지도 사치성 오락으로 간주되어 국민들로부터 따가운 눈총을 받고있는 것은 물론 세제 등에서 정부로부터 각종 불이익을 감수해야만 해 도산할 위기에 있다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골프가 우리 나라에 처음 도입된 것은 1921년6월. 일제 통치하였던 이 시절 철도국 직영이었던 조선호텔이 숙박객 유치 및 편의시설 제공 목적으로 효창원(현 효창운동장)에 9홀을 개장한 것이 효시라 할 수 있다.
해방 후 50년대와 60년대를 거치는 동안에도 골프는 일반인들과는 동떨어져 일부 특권계층에서만 즐기는 스포츠로 일관되어온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골프는 70년대 고도성장을 계기로 국내에서 붐이 일기 시작, 골프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현재는 1백20만명(골프협회추산)이 즐기고 있으며 주중이나 주말을 가릴 것 없이 부킹하기가 힘든 것이 현실이다.
골프장사업협회가 공식집계한 골프장 연간이용객 현황에 따르면 75년에는 35만3천명에 불과했으나 82년에 1백5만7천명을 기록, 1백만명을 돌파했으며 87년(2백19만9천5백36명)에 2백만명을, 89년(3백20만1천7백81명)에 3백만명을 넘어서 지난해에는 3백81만3천6백95명이 골프를 즐긴 것으로 나타나 올해에는 4백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골프인구가 이처럼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음에도 정부시책은 여전치 골프를 사치성 스포츠로 간주하고 있다. 골프용구는 물론 골프장에도 각종 특소세가 붙는 것은 물론 세금도 엄청나게 부과되고 있다.
신설골프장의 경우 대중골프장 건설기금(30억원)을 내거나 6홀의 퍼블릭 골프장을 건설해야하며 취득세·개발이익 환수금 등이 엄청나게 부과되어 착공조차 못하고 있는 업체가 54개소에 이르고있고 어려운 여건 하에서 준공된 골프장도 흑자 도산을 면치 못하게 됐다고 아우성이다.
골프장 취득세의 경우 총 투자비의 15%를 부과하도록 되어있어 40억∼50억원에 이르고 있는데 이는 일반취득세가 2·5%인 점에 비하면 무려 6·5배에 달한다.
올 초에 개장한 클럽700·이포CC 등은 조만간 정부를 상대로 행정소송을 제기할 방침이며 다른 신설골프장도 줄을 이을 것으로 보여져 사회문제화 할 조짐이다.
또 개발이득금의 경우도 전 면적을 대상으로 부과, 수십억원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골프장측은 「현 체육시설 이용에 관한 규정」에 40%이상을 임야로 보존토록 되어있어 개발된 면적에만 부과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회원권 판매부진 등까지 겹친 골프장업은 80년대까지 「황금 알을 낳는 거위」에서 매력 없는 사업으로 전락하고만 것이다. 그런가하면 골프용구 제조업체도 불만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골프 볼과 클럽, 골프웨어 등을 제조·판매하고 있는 F업체의 관계자에 따르면 클럽의 경우 특소세 때문에 가격이 두 배 가량 비싸져 결국 국민들로부터 사치성스포츠란 비난을 받게된다고 강변한다..
클럽시프트는 전량을 미국(스틸) 또는 일본(그라파이트)에서 수입하여 골프채를 제조하고 있는데 골프용품용이라는 이유만으로 엄청난 특소세가 부과된다는 것. 골프용품 업체들은 특소세만 해결될 경우 현재 시중에서 1백40만원을 호가하는 아이언세트(9개)를 60만∼70만원정도면 공급할 수 있으며 제조원가가 낮아짐으로써 충분히 수출경쟁력도 생긴다고 주장한다. 골프업계에서는 골프가 엄연치 스포츠로 인정되어 교통부에서 체육청소년부로 업무가 이전되었으나 특소세문제 등 어느 것 하나 해결되는 것 없이 여전히 일부 부유층의 사치성 오락으로 치부되고 있다며 못마땅해하고 있다.
그러나 골프가 여전치 국민들로부터 따가운 눈총을 받고있는 것도 사실이다.
골프는 전국곳곳의 환경파괴 논란과 함께 비용도 주말에 18홀을 라운딩할 경우 한 사람에 10만원씩이나 들게되니 웬만한 서민층 입장에서 보면 골프야말로 돈 있는 사람들만의 오락으로 생각되는 것이 당연하다 할 수 있다.
결국 골프가 국민들로부터 대중성스포츠로 인정받으려면 많은 사람들이 싼 비용으로 즐길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해야하는 것이 선결과제이며, 이를 위해 정부는 물론 골프업계의 새로운 차원의 노력이 따라야 할 것이다. <임병태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