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 복지, 이달 말까지 한시적 장관 수행할 듯”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4호 01면

국민연금법 개정안 부결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한 유시민(사진) 보건복지부 장관은 7일 “사의 수용 여부는 노무현 대통령께서 결정하실 것”이라며 “그러나 그때까지는 (장관직을) 영원히 한다는 생각으로 일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한ㆍ중ㆍ일 보건장관 회담에 참석하기 앞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그는 “사의 표명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어떻게 하겠느냐”는 질문에는 “그때 가서 보면 되지 않겠느냐”고만 말했다.

청와대 “9일 오후쯤 최종 결론”

유 장관은 “국민들에게 말씀드릴 (다른) 수단이 없어서 사퇴하는 것”이라며 “개정안 부결이 잘못됐다는 것을 알리고 호소하는 효과도 있다고 본다”고 사의 표명 이유를 밝혔다. 향후 연금법 개정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 그는 “국민연금법은 내 손을 떠났다”며 “(거부권 행사를 건의하겠다는) 한덕수 총리가 국회에 합리적 처리를 요청하는 활동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신의 열린우리당 복귀에 대한 당내의 부정적 기류에 대해 그는 “당에 무슨 일이 있는지 잘 모르고 생각할 겨를도 없다”며 “(대선 도전 여부는) 의미 없는 질문”이라고 말했다.

그의 거취에 대해 청와대의 한 수석비서관은 7일 “아직 노 대통령의 특별한 언급이 없었다”며 “수리 가능성은 반반이며 9일 오후쯤 윤곽이 드러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그러나 “기초노령연금법안에 대한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가 검토되고 있고, 열린우리당도 이번 주중 새 국민연금법 개정안을 발의하는 새로운 상황에서 리더십을 발휘할 사람은 유 장관뿐인 데다 당에서 유 장관의 복귀를 원치 않아 이달 말 국민연금 문제의 마무리 때까지는 일단 유임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다소 우세한 분위기”라고 말했다.

한나라당의 나경원 대변인은 이날 “유 장관의 사의에 정치적 복선이 깔려 있다는 의문이 있다”며 “유 장관은 장관직 사퇴 카드를 정치권 압박의 수단으로 이용하는 정략적 태도를 버리고, 노 대통령도 국무위원의 거취를 갖고 입법부를 통제하려는 생각은 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