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철 틈탄 분규 강경 대처하도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정부는 총선을 전후해 대기업 강성 노조를 중심으로 악성 노사 분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불법 분규 주동자에 대해서는 사업주로 하여금 민사상 책임까지 묻도록 하는 등 강력 대처키로 했다.
정부는 16일 오후 경제기획원·노동부 등 12개 부처 국장급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평화대책위원회 (위원장 정동우 노동부 차관)를 열고 구속자 석방 요구 등 소위 「목적상 불법 분규」 주동자에 대해서는 1차로 설득과 경고를 하고 불응시에는 업무 방해 등으로 엄정 의법 조치키로 했다.
또 쟁의 절차를 위반하거나 폭력·파괴 등이 수반된 분규, 연대 파업 등에 대해서는 주동자 처벌은 물론 사업주에게 민사 책임을 묻도록 지도키로 했다.
대책위는 또 총액 임금제 실시와 관련, 1천4백34개 중점 관리 대상 업체의 임금 인상률을 총액 기준 5%이내로 억제키로 하는 한편 임금 교섭 지도책임을 ▲경제기획원은 정부 투자·출연 기관 ▲재무부는 금융·보험업 ▲상공부는 제조업 ▲교통부는 운수업 ▲건설부는 건설업체 등 소관부처별로 분담키로 했다.
대책위는 인력 정책 심의위의 결정에 따라 5%초과 인상 업체에 대해서는 여신 심사를 강화하고 정부의 주요 인·허가 사업 참여시 불이익 조치를 주는 반면 5%이내 인상 업체에 대해서는 회사채 발행 평점시 가산점 부여, 자금 지원 및 은행 대출시 차등 금리 적용, 분규 발생시 세금 납부 기한 연장 등의 혜택을 주기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