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금융기관 간부는 예금 선호 100억대 재력가는 분산 투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지난달 30일 공개된 고위 공직자들의 재산 내용을 분석해본 결과 '부자 공직자'들은 그들 나름의 재테크 전략을 갖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부총재와 같은 금융기관의 고위 공직자들은 금융자산의 비중이 컸다. 금융전문가답게 높은 금리를 좇으면서도 위험부담을 가급적 줄이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반면 행정부의 고위 관료들은 부동산과 주식.예금에 재산을 고르게 나눠서 운영하는 경우가 많았다. 지난해 크게 인기를 모았던 펀드와 주식투자는 한풀 꺾인 모습을 보였다.

◆ 금융기관 공직자 "예금이 최고"=최근 퇴임한 정홍식 전 한국주택금융공사 사장은 총재산의 68%인 18억여원을 예금으로 갖고 있다. 정 전 사장은 본인과 부인 명의로 10여 개 상호저축은행에 6억원 넘는 예금이 있다고 신고했다. 금융기관 공직자들은 저축은행이 시중은행보다 신용도는 상대적으로 낮지만 금리가 높아 돈을 맡긴다. 저축은행의 금리(연 5.6~6.0%)는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금리(연 3.4~4.5%)보다 최대 2.6%포인트까지 높다. 이들은 저축은행의 낮은 신용도를 극복하기 위해 1개 저축은행의 예금액수를 4700만원 안팎으로 제한했다. 신용도가 약한 저축은행이 도산하더라도 한 사람에게 이자를 포함해 5000만원까지 보장해 주는 예금보호 한도를 최대한 이용한 것이다. 정 전 사장은 이자율에 따라 기존 저축은행에서 다른 저축은행으로 예금 잔액을 전부 옮기기도 했다.

윤용로 금감위 부위원장의 경우 본인 명의 예금 2억5990만원 중 3분의 2가 넘는 1억7500만원을 저축은행 3곳에 분산 예치해 저축은행 이용률에서 단연 1위를 기록했다.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는 본인과 부인 명의로 재산의 65%인 9억4066만원을 예금으로 갖고 있다. 시중은행과 저축은행에 골고루 예금을 분산해 놓고 있는 게 특징이다. 국책 금융기관장 중 최고 자산가 대열에 오른 유재한 한국주택금융공사 사장도 총재산 52억4640만원 중 69%인 36억2416만원이 예금이었다.

국책은행 관계자는 "재테크를 할 때도 아무래도 친숙한 분야에 손길이 가는 게 인지상정"이라며 "고위 관료뿐 아니라 대부분의 금융기관 종사자들이 다른 직종 종사자보다 예금을 선호한다"고 말했다.

◆ "안전 위주 분산 투자"=191억원대의 재산을 보유해 행정부 고위 공직자 중 재산 총액 1위에 오른 신철식 국무조정실 정책차장은 대표적인 분산 투자 선호형이다. 신 차장은 경기도 양평군 등에 본인과 부인 명의로 72억원대의 부동산을 갖고 있으면서도 106억원어치의 주식과 8억3456만원의 예금을 보유하고 있다. 2위인 이철 한국철도공사 사장도 114억원대의 부동산 외에 13억여원어치의 주식과 8억여원의 예금이 있다고 신고했다. 부동산 부자로 알려진 정성진 국가청렴위원장도 87억원대의 부동산 외에 6억3800여만원의 예금을 보유하고 있었다.

◆ 펀드 인기 한풀 꺾여=이춘희 건교부 차관은 지난해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으로 재직 당시 한 증권사 펀드의 평가액이 2억8000만원 이상 증가한 10억1734만원이라고 신고했다. 하지만 올해에는 9억1286만원이라고 신고했다. 1년 새 1억원 이상 떨어진 것이다. 2005년에 위세를 떨쳤던 펀드의 현주소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윤증현 금감위원장도 3개 증권사를 통한 간접투자에서 900만원이 넘는 손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펀드 수익률 상승으로 11억원가량의 수익을 올렸다고 신고해 화제를 모았던 한나라당 전여옥 의원은 올해는 펀드수익이 3억여원에 그쳤다고 신고했다.

박신홍.이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