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39)-서울야화(6)-통일독위 촉진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남북협상의 공동성명은 또 ▲민주적 통일조국의 건설을 위해 남북의 단선·단정을 반대했고 ▲미소양군의 철수에 의견의 일치를 보았고 ▲연석회의에서 합의하지 못한 국제협조와 그밖의 문제는 앞으로 남북 지도자가 자주 접촉해 해결하기로 하였고 ▲송전과 연백저수지 개방에 동의하였고 ▲북한에 억류된 조만식도 월남시키겠다는 약속을 한 것이 수확이라고 한다면 수확이라고 할수 있다.
김구와 김규직이 남한에 돌아와 첫번째로 실행해야할 일은 남북협상에서 약속한대로 외군철수를 종용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두 김씨는 외군철수후의 내전 불발 약속을 받아낸 것이었다.
남북협상의 첫째 조건인 외군철수를 위해 북한측은 김두봉을 소련군 사령관 코르트코프에게, 남한의 협상파는 여운홍을 조선주둔 미군사령관 하지에게 각각 보내 양군철수를 요구하는 서한을 전달하였다.
하지는 이에 대해 『유엔의 결의안에는 전조선에 걸쳐 총선거를 실시한 후 조선국민정부가 수립되면 가급적 속히 양군이 철수할것이 규정되어 있다』고 하여 유엔결의에 의한 정부수립 후의 철수를 강조했다.
코르트코프는 『소련정부는 조선으로부터 미군부대가 철수하면 소련군대를 즉시 조선에서 철수시킬 준비가 완료되어 있다』고 밝혀 미군과의 동시 철수를 주장하였다.
이리하여 외군철수문제가 미해결로 남았고 남한에서는 5월10일에 총선거를 실시해서 대한민국을 세웠다.
그뒤 북한에서는 남한에 제2차 남북협상을 해주에서 열것을 두 금씨에게 다시 제의해왔다.
두 김씨는 북한에 있는 홍명희를 시울로 불러 미리 의논하려고 하였으나 실행되지 못했다. 이어 북한에서는 선거를 실시하여 정부를 수립하려고 하니 두 김씨가 이에 호응하라는 요청을 해왔으나 두 김씨는 응하지 않았다.
북한에서는 두 김씨의 참가없이 6월29일부터 평양에서 「제2차남북 제 정당·사회단체 지도자협의회」가 개최되어 남한의 국회를 비합법적 조직체로 규탄하고 북쪽만의 선거에 의한 조선 최고인민회를 창설하였다.
두 김씨는 공동성명을 발표하여 그 회의가 일방의 독단일 뿐 아니라 참가단체를 보더라도 제l차 협상에 남한을 대표하여 참가한 정당·사회단체 31개에 비해서 「요료무문」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이것이 민의에 의한 통일이라고 주장하며 인민회의라는 것을 통해 일방적으로 결정한 헌법에 의해 인민공화국을 선포하고 국기까지 바꾸었다.
5·10선거 자체를 거부하는 두김씨를 중심으로하는 협상파 중간세력은 5·10선거 후에도 계속해 통일국가 수립운동을 펴나갔다.
1948년 7월에는 한독당과 민족자주연맹 외에도 동민당·동노대중당·민주한독당·신진당·청야당·보국당·민중동맹등이 참가한 종래의 단정 반대운동의 모체로서의 통일 독립운동자 중앙협의회를 통일 독립촉진회로 새로 발족시키고 계속해서 남북을 막론한 단독정부 수립 반대운동을 전개해갔다.
이 운동은 국내외적으로 동시에 진행되었다.
협상세력의 통일정부수립운동은 유엔에 대해서도 활발히 전개되었다.
8월에 이승만 정권이, 9월에 김일성 정권이 성립되고 난 뒤에도 통일독립촉진회는 유엔측에 『귀유엔에서 한국문제를 다시 토론할 때 어떤 한국사람이고 자유로이 말하라고 한다면 반쪽 조국위에 세워진 정부를 자기의 통일정부라고 부르지 않을 것이며 그 정부가 자기들에게 행복을 줄 것이라고 승복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기억하기 바랍니다』라고 통보해 강력한 반발을 표명하였다.
이와 동시에 통일독립촉진회의 대표가 유엔총회에 출석해 발언할 수 있는 기회를 달라고 요청하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