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글래디스」왜 큰 재난 불렀나|B급 태풍에 피해는 A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23일 오후 우리나라 남해안 지방을 강타한 제12호 태풍 글래디스는 태풍관측사상 유례드문 이상진로를 밟아 최고 6백mm 까지 엄청난 양의 비를 영남해안지방에 집중적으로 쏟아붓는 특이한 행태를 보였다.
이 때문에 이 태풍은 중심기압 9백75∼9백80밀리바의 약한 B급이면서도 예상외로 큰 재난을 몰고 왔다.
기상청은 22일 밤까지도 일본 구주 서쪽 해상에서 대마도 부근 해상에서 북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울릉도 남쪽 동해로 빠져나갈 것으로 예상했다. 그 근거는 ▲태풍이 북위 30도 이상 지역에서는 지구자전에 의한 전향력과 편서풍의 영향으로 거의 예외없이 동쪽으로 휘어지며 ▲동해상공 상층부에는 태풍의 통로격인 기압골이 형성되어 있었다는 점 등이었다.
그러나 이 태풍은 23일 오전 2시쯤 북위32도, 동경 1백28.8도 지점(구주 서쪽 약 1백20km 해상)에서 갑자기 방향을 북서쪽으로 틀어 우리 나라로 접근했다.
기상청의 한 관계자는 『동해 상공 하층부에 미처 예측치 못한 고기압 세력이 확장, 바리케이드 역할을 한데다 우리 나라 북쪽에도 고기압이 버티고 있어 이 태풍이 갈 곳 잃은 미아상태가 되어 멈칫거리다 중국 화북 지방의 미세한 기압골 틈바구니를 찾아 북서진하게 된 것 같아』고 분석했다.
이 같은 이상진로가 영남 남해안에 많은 비를 몰고 온 원인이 됐다.
이 태풍은 발생이후 줄곧 진행속도가 느려(시속 10∼17km) 태평양에서 증발한 습기를 많이 머금고 있었던 데다 우리나라 부근에서 주춤거리는 바람에 많은 비를 뿌렸다.
게다가 전면에 버티고 있는 고기압 세력은 마치 「젖은 수건을 쥐어짜는」 역할을 함으로써 시간당 20∼30mm의 장대비를 내리게 한 원인이 됐다는 설명이다.
태풍은 뭍에 상륙한 후에는 급격히 약화되며, 중심부보다도 진행방향의 오른쪽 50∼1백km에 가장 큰 피해를 일으키기 때문에 영남 해안지방이 태풍이 직접 통과한 전남북 지역보다 피해가 컸다.
24일 오전 8시 현재 강우량을 보면 영남 해안지방이 ▲울산 5백44.7mm ▲부산 5백5.5mm ▲거제 5백.2mm ▲포항 3백93.6mm ▲마산 3백20.3mm 등 기록적인 수치다. 지난해 중부지방 대홍수 때 세워진 단기간 강우량 최고기록은 5백15.6mm(수원)였다.
23일 하루 강우량은 부산 4백39mm(종전 최고 1912년 7월 17일 2백50.9mm), 울산 4백17.8mm(종전최고 69년 9월 15일 3백15.8mm) 등으로 각각 사사아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국을 통틀어 하루강우량 사상 최고는 81년 9월 2일 태풍 애그니스가 전남 장흥에 쏟아부은 5백47.4mm다.
이밖에 영동지방에서도 다습한 북동기류의 유입에 따른 지형적 영향으로 ▲대관령 4백38.6mm ▲삼척 3백65.5mm 등의 폭우가 쏟아졌다.
기상청이 이번 태풍의 진로변경을 그나마 늦지 않게 알아챈 것은 올해초 부산지방에 설치한 기상레이다 덕분.
기상청 관계자들은 이 기상레이다를 통해 태풍의 눈을 추적하다 23일 오전 2시부터 태풍의 눈이 옆으로 퍼지면서 미세하게 서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보고 『방향을 바꾸는 것 같다』『잠깐 위치를 바꿨을 뿐 결국 동해로 갈 것』이라는 격론 끝에 오전3시쯤 수정예보를 내보낼 수 있었다는 후문이다.
기상청은 지난해 여름까지만해도 기상레이다라고는 서울 관악산에 설치한 1대(유효관측거리 4백km)밖에 없어 태풍추적에 큰 애를 먹었으나 이후 제주·부산 지방에 1대씩 추가설치해 큰 효과를 본 셈이다.
이번 태풍의 진로변경에 대해 기상청은 물론 일본 기상청도 23일새벽까지 전혀 감을 잡지 못했으나 괌도에 있는 미 공군 관측소에서는 전날 이미 태풍이 서해로 진로를 바꿀 것이라는 예측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동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