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할린 자원개발 한·미·일등 각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현대·삼정등 6개그룹 응찰준비/시베리아개발 기득권 획득 노려
소련당국이 탐사를 통해 확인한 사할린의 석유매장량만 8천만t,가스 2억t.
실제 매장량은 이의 10배가 될지,1백배가 될지 모르는 이 지역의 자원개발권을 따내기 위한 국제공개입찰이 이달말 소련에서 실시된다.
소 연방 석유가스공업성 및 러시아공화국 지질연료광물자원위원회와 50대 50의 합작으로 시작될 사할린자원개발을 놓고 현대그룹을 비롯,일본의 미쓰이·미쓰비시등 세계 굴지의 기업들이 각자 컨소시엄을 형성,응찰준비를 하고 있다.
응찰에 따른 기본자료·서류구입비만 사당 47만달러에 이르며 소련당국이 여기에서 챙기는 돈만도 5백여만달러.
10년이 걸릴지,20년이 걸릴지 모르지만 캐내는 자원을 속속들이 팔아 다시 개발비로 쏟아부으면서 써야할 돈이 자그마치 1백억달러에 이른다(미쓰이물산추산).
성공하면 「노다지」지만 실패하면 투자비도 건지기 어렵다. 그러나 모험사업에 도전하는 각국 기업들이 사할린 개발권을 따내기위해 혈안이 된 이유는 무궁무진한 시베리아개발의 기득권을 잡기위해서다.
이번 입찰에 응할 것으로 알려진 기업군은 현재 6개 그룹.
현대가 호주의 BHP 및 미국의 아모크와 컨소시엄을 형성했고 일본의 19개 기업이 공동출자한 소데코가 미국의 엑슨과,미쓰비시가 영국 셸과 손을 잡았으며 미국 모빌 등이 단독으로 응찰준비를 하고 있다.
개발비와 기술력등이 한기업이 부담하기에는 벅찬데다 무엇보다 위험부담이 크다.
사실 사할린개발에는 여러가지 복병이 도사리고 있다.
첫째는 소련내부의 복잡한 사정이다. 연방과 공화국정부간의 알력으로 소유권이 불명확하다. 소련측의 사업주체가 연방성과 러시아공화국위원회인 것도 그때문이다. 연방·공화국·주정부 모두 자신들이 자원의 주인임을 주장하고 있다.
신연방조약이 체결되더라도 자원소유권이 모호하게될 가능성이 높다. 외국기업으로서는 닭쫓던개 지붕 쳐다보는 꼴이 안되리란 보장도 없다.
둘째는 경제성이다. 대부분의 광구가 해저광구인 관계로 떠내려오는 빙산을 막으면서 일을 해야한다. 비용이 그만큼 많이 든다.
일본상사측의 계산으로는 LNG의 경우 자칫하면 국제시세의 10배를 받아야 채산을 맞출 수 있다. 때문에 입찰에 응하는 일본기업중에는 개발권을 따내기보다는 자신을 알리는데 의의를 찾는 기업도 있다.
이에 대해 현대그룹 관계자는 『채산성이 없다느니 개발비가 너무 많이 든다는등의 일본쪽 얘기는 현대의 김을 빼기위한 전술적 차원의 연막』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현대측은 개발비가 많이 드는 것은 인정하지만 사할린자원의 경제성에 대한 확신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
이달말 입찰이 실시되면 10월5일 소련당국에 의해 합작파트너가 선정·발표된다.<이연홍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