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교육위원 선거|「정치판」휘말릴 우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교육 자치제 실현을 위한 교육위원선거가 20여일 앞으로 다가왔다.
전국 평균 4대1의 경쟁을 보이고 있는 이번 선거는 제도적인 미비점을 이용한 후보들이 사전선거운동을 벌이는가 하면 정당의 입김으로 교육위원회의 정치 예속화가 우려되는 등 부정적인 측면도 적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후보경합=전국에서 2백24명을 뽑는 교육위원 자리를 놓고 지역별로 3대1내지 5대1의,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부산지역은 현직 부산대 교수인 최현욱(57) 문승의(48)씨와 강신문씨(67·부산시 평생교육진흥회이사) 등이 이미 등록을 마쳤으며 교육감을 지냈던 이모·조모씨 등도 거론되는 등 60명이 넘는 후보가 등록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7명을 뽑는 대구시는 자천·타천으로 출마의사를 밝힌 사람들만도 구별로 5∼6명에 이르고 있다.
광역의회의원을 횝쓴 민자당이 후보인선작업을 끝낸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대구시 교원단체연합회에서도 14명의 입후보자를 선정·발표, 뜨거운 대결이 빚어질것으로 보인다.
3대1의 경쟁률이 예상되는 경북 도내에서도 민자당과 교육청의 사전 낙점설이 나돌아 일부 인사들이 출마를 포기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인천시의 경우 7석의 자리를 놓고 22∼23명 정도가 출마를 고려하고 있다.
안문옥(65·전 인천고 교장)·서강훈(64·기호일보 사장)·박수남(66·전 인천교육원장)씨등이 주목되는 인물들.
대전 및 충남지역은 현직 교육위원 뿐 아니라 15년 이상의 교육경력자가 대거 등록해 치열한 각축전이 예상된다.
평균 4대1의 경쟁이 예상되는 대전에서는 현직 교육위원인 강구성씨(68)와 충남대 교수인 김언주씨(45) 등이 등록을 마쳤다.

<평균 4대1 겅쟁>
26명을 뽑는 경기도는 1백30여명이 등록할 것으로 보여 5대1의 경쟁이 예상되는데 교육계 출신이 아닌 일반인의 정당추천을 통한 참여가 많을 것으로 보인다.
9명을 선출하는 광주·전남지역에서는 전교조 소속 해직 교사들의 참여가 두드러지고 있다.
전 전남지부장 고진형씨(42)를 비롯, 해직교사 17∼18명이 이미 등록을 마쳤거나 준비 중에 있어 교육위원활동을 통해 전교조가 내세우고 있는 참교육실현과 해직교사 복직의 정당성을 주장하려 하고 있다.
15명을 선출하는 전북지역 출마예상자는 전주·이리·순창이 각 9명 등 80여명에 이르고 있어 경쟁률이 5대1이 넘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전북에서도 신민당이 거의 결정권을 쥐고있는 상황.
경남도는 평균 4∼5대1이 예상되는데 경상대 남정완 교수(64)·통영수산전문대학 노낙현 학장(64)·경남사립중교장회 성창량 회장(66)등이 등록했으며 65세 이상의 퇴직 원로교육자들이 대거 등록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충북도 역시 5대1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데 정년 이상 교육경력자가 등록자의 8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현직 대학교수인 충북대 한재영 교수(46)와 서원대 홍신희 교수(64)가 등록을 마쳤으며 교육경력이 전혀 없는 정세의 장충호씨(대한노인회 단양군 지부장)도 등록, 노익장을 과시했다.
강원도는 18명 정원에 60명 정도가 거명돼 경쟁률이 3대1 정도로 예상된다.
이들 대부분이 일찌감치 등록을 마치고 본격 득표활동을 벌이고 있는데 퇴직 교장들인 최재하(69)·조현묵(65)·정상순(74)·민병성(69)씨 등이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7명을 선출하는 제주도는 4대1의 경쟁률이 예상되나 대부분이 원로교육자들이거나 대학교수들로 비중이 엇비슷하여 인선에 어려움을 겪을것으로 보인다.
◇로비활동=시·도의회가 선출권을 행사하고 일반인도 교육위원이 될 수 있는 규정 때문에 후보자들은 기초 및 광역 의원들을 상대로 치열한 로비활동을 벌이고 있어 신성해야 할 교육계 풍토에 먹칠을 할 가능성이 매우 커지고 있다.

<유인물 벌써 돌려>
등록을 끝낸 일부 후보자들은 벌써부터 자신의 사진·경력 등을 소개하는 팜플릿을 시·군 의원들에게 돌리는 등 「얼굴 알리기」에 나서고 있으며 개별 접촉도 시도하고 있다.
부산의 모후보는 후원자들의 도움아래 거액의 로비자금까지 뿌린 것으로 알려지는 등 금품공세까지 등장했다.
신민당이 장악하고 있는 광주지역에서는 이미 기초의원의 40%이상이 교육위원 선출과 관련, 후보자들로부터 개별적인 교섭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으며 광역의회의 파행운영이 계속된 대전시의 경우 광역의원들에 대한 접근이 사실상 불가능하자 기초의원들을 대상으로 한 로비가 집중되고 있다.
◇문제점=교육위원의 최종 선출권을 광역의회가 갖고 있어 교육위원 선출에도 역시 정당이 적극적으로 개입, 중립적이어야 할 교육계가 정치적인 입김에 좌우되는 것을 피할 수 없게 됐다.
호남권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민자당이 압승을 거뒀기 때문에 교육위원회도 친여 성향 일색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잇속 챙길까 걱정>
지난번 광역의희 의장단 선출에서 문제가 됐던 중앙당의 낙점현상이 교육위원선출과정에서도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또 일반인들의 참여를 허용, 자칫 교육위원회가 특정 집단이나 개인의 이익을 대변하는 기구로 전락할 우려도 없지 않다.
부산에서는 일부 사설학원 관계자들이 자신들의 입장을 대변할 모 학원 원장을 후보로 내세웠고, 대구에서는 서점주인과 학원 원장이 역시 등록을 마쳤다.
이들은 교육경력자들보다 훨씬 활발한 로비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사립학교 관계자들도 대거 입후보, 교육위원에 선출될 경우 자신들의 이익을 대변할 것으로 보인다.
이전의 각종 선거에 출마해 낙선한 인사들이 교육위원선거를 마지막 기회로 알고 후보로 등록한 「한풀이 출마」 케이스도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광역의회에서 실패했던 사람들 중 광주의 장씨(52), 충북의 이씨(52), 경기의 김씨(59), 전남의 김씨(44)등이 등록했으며 지난해 축협 조합장·농지개량조합장과 올해 농협조합장 선거에서 낙선한 전남의 이씨(58)도 출마했다. <제2사회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