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교육부 손 떼야 세계 일류대 나온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12일 오후 2시30분 서울 청파동 숙명여대 백주년 기념관. 전국 200개 4년제 대학 총장 모임인 대학교육협의회 정기총회에 참석한 김신일 교육부총리는 총장 160여 명을 대상으로 교육 경쟁력 등에 대해 강연했다.

김 부총리는 "대학 자율권 확대는 필요하지만 대학의 공공성부터 높여야 한다는 게 정계와 정부의 의견"이라며 "(총장들이) 더 노력해야 하는데 섭섭하다"고 말했다.

반응은 냉랭했다. 서울 A대학 총장은 "학자 시절 누구보다 자율을 강조하던 사람이 지금은 저쪽(청와대) 입장에서만 얘기하는 것 같다"며 "교육부총리가 바뀔 때마다 자율권 확대를 약속하지만 실제론 돈줄을 쥐고 입시.행정 등 모든 문제에 시시콜콜 간섭한다"고 말했다.

B대학 총장은 "교육부가 2000년에 교육인적자원부로 확대 개편되면서 인력.예산 등 몸집만 커졌지 한 일이 뭐냐"며 "교육부총리와 공무원들이 코드나 맞추다가 문제가 생기면 청와대 탓만 하니 답답하다"고 비난했다.

세계 경제규모 10위권, 고교생의 82%가 대학에 진학해 국민 16명 중 1명이 대학생인 대한민국. 외형적인 고등교육 지표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 하지만 내용을 뜯어보면 한국의 교육은 벼랑에 서 있다.

입시제도는 툭하면 바뀌고, 사교육비는 매년 불어나고, 조기 유학생이 2005년 이후 연간 2만 명을 넘어섰다. 교육정책의 혼선이 국민적 고통이 된 것이다.

대학에도 문제는 있다. 경쟁력 향상 노력보다 정부 눈치만 보며 안주해 왔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지방대의 반란'으로 불리는 포항 한동대의 성공사례는 눈여겨 볼 만하다. 1996년 개교한 이 대학은 전체 강의의 30%를 영어로만 하는 등 미국의 토론식 교육을 하고 있다. 특히 10년간 60여 개국의 외국인 학생을 유치해 '캠퍼스 국제화'에 성공했다는 평이다.

김영길 총장은 "학생들 실력이 단단하다 보니 삼성 등 대기업들도 서로 끌어가려 한다"며 "외국인 학생 유치 등 자율권이 대폭 확대돼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교육부는 여전히 거꾸로 가고 있다. 연간 3000억원의 두뇌한국(BK21) 사업비 등 정부가 대학에 지원하는 돈의 73%(3조2957억원)를 교육부가 주무르며 대학 통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서울의 한 대학 총장은 "'내신을 확대하라''논술 가이드라인을 지켜라''적립금을 쌓아놓지 말라"며 간섭하는 나라는 우리밖에 없다"며 "교육부의 '돈줄'이 대학 경쟁력을 갉아먹는 '독'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자율권 보장해라"=본지는 대학의 자율권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전국 4년제대 총장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그 결과 설문에 응한 51명 중 39명이 "교육부가 자율권을 보장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입시정책▶재정▶행정(학사운영.교육과정) 분야의 간섭이 심하다고 했다.

서울대 이장무 총장은 "10여년 전부터 정부가 자율화 정책을 추진해 왔지만 대학 현장의 체감도는 여전히 낮다"고 지적했다.

연세대 정창영 총장은 "정부는 대학 교육의 큰 틀만 디자인하고 학생 선발 등 세부적인 운영은 대학에 과감히 넘기는 방향으로 정책의 큰 줄기를 바꿔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총장 51명은 모두 자율권이 확대돼야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말했다. 숙명여대 이경숙 총장은 "세계 일류 대학을 키우려면 대입.재정.학사운영 등을 모두 대학에 맡겨 경쟁력 있는 블루오션을 찾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별취재팀=양영유(팀장).강홍준.김은하.박수련 기자, 신창운 여론조사 전문위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