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 분양일정 차질/아파트분양가 인상 연기따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지자제선거 의식”의혹
아파트분양가 인상문제가 연기됨에 따라 신도시 분양일정에 차질이 빚어지게 됐다.
더욱이 당초 21일 확정발표될 예정이었던 분양가의 인상시기마저 정해지지 않은 상태여서 26일의 기초의회선거를 고려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마저 불러일으키고 있다.
주택 2백만가구 건설목표를 올해 달성목표로 하고 있는 건설부가 올 50만가구의 주택을 지어야 하고 그중 많은 물량을 분당·일산 등 신도시에 건설해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굳이 신도시 분양일정까지 늦춰가며 분양가 인상시기를 연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건설부는 당초 신도시중 3월안에 평촌·중동에서 올해 1만8백여가구분의 첫 분양을 실시하겠다고 공언해왔다.
21일 건설부에 따르면 지난 89년 11월 분양가를 평당 상한 1백34만원에서 현재의 원가연동제로 바꾼 이후,건자재·인건비가 대폭 올라 이를 분양가에 반영시켜 주지않을 경우 민간주택 건설업자들이 주택건설을 기피,2백만가구 건설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해 건축비의 한자리선(8.8%)에 노임·자재비 상승분의 50%를 추후 반영해주는 물가보상제를 적극 검토해왔다.
이에 대해 물가당국인 경제기획원은 사실상의 두자리수 인상인 건설부안에 반대해 오다 최근에는 이를 수용하는 쪽으로 돌아서 21일 최종합의,발표될 예정이었다.
특히 부처간 합의된 인상방법은 이날 노태우 대통령에게 보고될 사항이었음에도 전격적으로 제외돼 지자제선거에 미칠 영향을 고려했다는 의혹을 짙게하고 있다.
한편 건설부는 한자리수의 건축비 인상에다 ▲노임은 소비자물가 상승분의 50%,자재는 도매물가 상승분의 50%를 반영하는 방안 ▲소비자물가 상승분중 주택수리 관련자재 10종,노임관련 부분 5종을 택해 50%를 반영하는 방안 ▲노임·자재 모두 도매물가 상승분의 50%를 반영하는 방안 등 세가지를 기획원측에 제시해놓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