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L후진국(분수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다른 것은 그만두고 「삶의 질」에서 뒤떨어지면 후진국이다. 세계 선진국들은 지난 1970년대부터 「삶의 질」이란 말을 선진국의 간판처럼 내세웠다. 영어로는 「퀄리티 오브 라이프」,QL이라고 표기한다.
그러나 미국만 해도 80년대가 다 지나도록 역시 물량의 성장을 따졌다. 미국의 한 조사기관이 80년대 미국기업들의 새 상품 이름을 조사한 결과 「골드」(황금)라는 단어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호경기 탓도 있지만 그보다는 번쩍 번쩍하는 상품에 대한 선호도를 나타낸 것이다.
요즘 그 미국에서 「그린」(녹색)이라는 말이 상품명으로 각광받고 있다. 「에코」,「엔바이런」이라는 이름이 붙은 상품도 마찬가지다.
「에코」는 생태학이라는 단어에서 따온 말이다. 「엔바이런」역시 환경이라는 말의 첫 글자다. 그 정도로 사람들의 관심은 환경에 쏠리는 세상이 되었다.
「삶의 질」을 유엔은 HDI라는 영문자로 표기하고 있다. 「휴먼 디벨로프먼트 인덱스」의 약자다. 사람이 행복한 생활을 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기본조건이 얼마나 갖춰져 있는가를 따지는 지표다.
얼마나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는가(건강),지식을 얼마나 많이 얻을 수 있는가(교육),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는 수입이 얼마나 많은가(GNP=국민총생산),이 세가지가 행복을 가늠하는 기준이라는 것이다.
「건강하게 오래 사는」조건의 첫째는 쾌적한 환경이다. 깨끗한 물,맑은 공기는 쾌적한 환경을 이루는 기본중의 기본이다.
바로 이 조건에서 우리나라는 여전히 후진국에서 턱걸이를 하고 있다. 우선 깨끗한 물의 조건인 하수처리율이 31%에 지나지 않는다. 세계 꼴찌권이다. 하다못해 태국,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만도 못하다. 이들 나라는 적어도 모두 37%를 넘고 있었다.
아황산가스의 경우는 세계 54개 유명도시 가운데 서울이 밀라노(이탈리아) 심양(중국) 테헤란(이란) 다음으로 배출량이 많다. 자랑스럽게도 세계 4위다. 쓰레기는 우리나라가 단연 세계 1위로 미국의 하루 1인당 평균 2㎏을 앞선 2.22㎏이다. 이것은 최근 우리나라 환경처가 집계한 조사자료다.
우리는 지금 지방자치선거를 한다고 매일같이 목청을 돋우고 있지만 이런 문제들을 덮어두고 아무리 그 목소리가 커도 후진국을 면하기 어렵다. 「삶의 질」을 높여주는 민주주의야말로 진짜 민주주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