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내생각은…

사이버 독자 606명이 본 중앙일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3면

중앙일보 독자들은 중앙일보의 지면이 독자의 수준과 요구에 대체적으로 부응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 기자의 전문성이 뛰어나다는 반응을 보였다. 반면 광고성 기사가 많고, 공익보다 신문사 이익을 우선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4일 중앙일보가 '중앙일보 사이버 독자위원회' 위원 606명을 대상으로 지면 신뢰도를 조사한 결과다.

◆조사 결과='시대에 맞게 독자 수준과 요구를 따라가고 있다'는 질문에 '매우 그렇다'는 반응이 7.3%, '그런 편이다'는 대답이 77.3%였다. 이는 15개 신뢰도 조사 항목 가운데 84.6%로 가장 높은 긍정적 응답이다. 중앙일보 지면이 시대의 흐름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독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평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기자들의 전문성이 뛰어난' 측면 역시 82.6%로 긍정적 대답이 높았다. 이어 '기사의 다양성.심층성' 78.0%, '기사의 신속성.정확성.객관성' 73.6%, '사설.칼럼이 합리적이고 공정하다' 64.0% 순이다.

긍정적인 응답이 낮을수록 신뢰도가 높은 항목의 조사 결과는 '사생활 침해나 명예 훼손 기사가 많다'가 11.9%, '선정적 보도가 많다'가 19.7% 등이다. 사생활을 침범하거나 명예를 손상하는 기사가 그리 많지 않다고 판단한 것이다. 기자들이 기사를 작성하면서 개인의 권익과 이익을 보호하는 데 좀 더 관심을 가질 것을 주문한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지면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데 대한 지적도 적지 않았다. 가장 큰 문제점으로 '광고성 기사가 많다'는 데 대해 66.7%가 동의했다. 또 '공익보다 신문사 이익을 우선한다'가 49.7%, '문제 해결이나 대안 제시보다 비판만 주로 한다'가 49.0% 등으로 나타났다. 사회 공기(公器)로서 보다 객관적인 보도 태도를 견지하고 언론으로서 소임을 다할 것을 촉구한 것이다.

지면 신뢰도에 대한 부정적 평가는 성(性)별.계층별로 차이를 보였다. '광고성 기사가 많다'는 지적은 남성(56.1%)보다 여성(77.1%)에게서 훨씬 높았고 직업별로는 전업주부(78.1%), 가구 소득별로는 201만~300만원(74.8%)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공익보다 신문사 이익을 우선한다'는 평가는 연령별로는 40대(58.6%), 직업별로는 판매.서비스(64.2%) 계층에서 높았고,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신문사의 이익을 우선시한다는 응답이 높은 편이었다.

◆3월 조사 결과와 비교=15개 신뢰도 항목 중 11개는 올 3월 한국신문협회.한국리서치 조사 결과와 비교가 가능하다. 결과는 대체적으로 비슷했지만 4개 항목에서 두드러진 변화가 나타났다. 좋아진 부분은 '정치.경제 권력을 제대로 비판한다'와 '정정 보도에 충분한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는 측면이다. '정치.경제 권력 비판'에 대한 긍정 응답은 48.3%에서 58.3%로 10%포인트 늘었고, '정정 보도 할애'는 45.1%에서 53.0%로 증가했다. 중앙일보에 대한 독자의 신뢰도가 꾸준히 향상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나빠진 부분은 '문제 해결이나 대안 제시보다 비판만 주로 한다'와 '사실 확인이 부족한 추측성 기사가 많다'는 측면이다. '비판만 주로 한다'는 올 3월 34.6%였는데 49.0%로 크게 증가했고, '추측성 기사가 많다'는 24.0%에서 30.9%로 늘어났다.

신창운 여론조사 전문기자

◆사이버 독자위원회=중앙일보는 올 하반기부터 구독자 600여 명으로 구성된 사이버 독자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패널식 독자위원회가 명망가 위주로 짜여 독자들의 다양한 욕구와 목소리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위원회는 정기적인 설문조사를 통해 중앙일보에 대한 신뢰도와 만족도를 평가하는 역할을 한다. 위원들은 남녀 300여 명씩으로 연령, 교육 수준, 직업, 지역, 가구 소득별로 고루 분포돼 있다.

중앙일보는 신뢰도 조사 결과 드러난 지면의 문제점과 결함을 지면 제작에 반영한다. 부정적으로 평가된 항목은 원인 진단과 함께 개선책을 마련해 기사 작성에 참고토록 하고 기자 교육에 활용한다. 긍정적인 평가가 높더라도 경쟁사에 대한 조사 결과와 비교해 긍정 응답률이 낮거나 비슷한 항목은 부정 평가 항목과 동일하게 대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