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수도방어체계의 완성…한양도성∼북한산성 잇는 성곽 ‘탕춘대성’ 국가 사적 지정

중앙일보

입력

한양도성과 북한산성을 잇는 ‘탕춘대성(蕩春臺城)’이 국가 사적으로 지정됐다.

숙성 때 축성 시작해 영조때 완공 #1920년대 들어 대홍수로 유실

9일 서울시에 따르면 문화재청은 이날 서울시 유형문화재(제33호)인 탕춘대성을 국가지정문화재인 사적으로 지정했다. 2022년 사적 예비문화재로 선정된 후 2년 만의 승격이다.

탕춘대성의 정문인 홍지문(왼쪽)과 물이 흐르도록 한 오간수문. 사진 서울시

탕춘대성의 정문인 홍지문(왼쪽)과 물이 흐르도록 한 오간수문. 사진 서울시

탕춘대성은 한양도성 서북쪽인 인왕산 기차바위에서 시작해 북한산 향로봉 아래까지 이어지는 길이 약 5㎞ 산성으로 조선 후기 한양도성 방어체계 완성판으로 꼽힌다. 이 성은 1702년(숙종28년) 우의정 신완의 건의에 따라 1715년 공사를 시작, 영조 때인 1754년 완성됐다. 도성 서쪽을 방어하면서 군량을 보관하고, 전쟁 시에는 한양도성과 북한산성을 오가는 통로로서 군량 등을 보급하는 기지로 활용됐다. 이 성은 한국에서 유일하게 인근 성곽의 군량 보급과 지휘를 담당했던 '배후 성'이다.

성 명칭은 인근 세검정에 있는 ‘탕춘대(蕩春臺)’에서 따왔다고 한다. ‘탕춘(蕩春)’ 은 ‘봄(春)을 질탕(蕩)하게 즐긴다’는 뜻으로, 연산군 당시 정자 탕춘정(蕩春亭)을 지어 연회를 즐겼다. 탕춘정은 당대 최고의 화려함이 묻어나는 장소였다고 한다.

탕춘대성은 국내에서는 보기 드문 차단 성이자 연결성(통로 성) 역할을 하는 성곽으로, 홍지문(弘知門)과 오간수문·암문 등 부속 시설이 있다. 내부에는 총융청 터, 평창(군량미 보관 창고) 터 등 국방 관련 시설이 있다. 영조는 탕춘대성 내부에 한성부와 경기도 일대를 방어하는 총융청을 옮기면서 전시에 도성을 지키겠다는 계획인 ‘수성절목’을 반포해 조선 후기도성 방어체계를 구축했다.

입체 지도로 본 탕춘대성의 위치. 사진 서울시

입체 지도로 본 탕춘대성의 위치. 사진 서울시

하지만 탕춘대성은 비용과 인력 문제로 인해 당초 구상됐던 동쪽 성벽은 축조하지 못하고, 서쪽 성벽만 완공된 채로 한양도성과 북한산성을 이어주는 통로처럼 주로 쓰였다. 하지만 실제 쓸 일이 많지 않았던 성벽은 점점 무너지다가 1920년대 을축년 대홍수로 인해 타격을 입어 대부분 헐렸다. 이후 1976년에 탕춘대성 정문인 홍지문과 오간수문 등이 복원됐다.

한편 서울시는 탕춘대성 원형 파악을 위해 2022년과 지난해 두 차례 발굴조사를 했다. 이를 통해 이 성이 숙종~영조 대에 이르는 조선 후기 축성술이 적용된 것을 확인했다. 또 2022년에는 ‘탕춘대성 사적지정 승격을 위한 학술 심포지엄’을 열어 이 성의 역사ㆍ문화ㆍ학술적 가치를 재조명했다. 최경주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탕춘대성은 18세기 이후 확립된 도성 방어체계 개선의 마침표를 찍은 유산이자 한양도성과 북한산성을 연결하는 관문 장성”이라며 “서울 숨은 문화유산을 지속해서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