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건설업계 “지방 미분양 우려 커져”…도급 100위권 밖은 자금조달 애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관련해 시공능력 20위권 내 중견 건설사의 유동성 악화설이 돌면서 건설업계가 한때 긴장감에 휩싸였다. 이와 관련해 이 건설사는 “워크아웃 신청설은 사실무근”이라고 부인해 위기설은 단순 해프닝으로 일단락됐다. 다만 고금리 속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해 PF 부실 리스크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PF는 아파트 등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의 미래 수익을 담보로 금융회사에서 사업비를 빌리는 방식이다. 부동산 시장이 호황일 때는 문제가 없지만 불황 국면에서 자금이 돌지 않은 탓에 시행사가 부도를 내면 PF 대출을 보증한 시공사(건설사)가 채무를 떠안게 된다. 이를 ‘부동산 PF 우발채무’라고 한다. 현재는 빚이 아니지만 시장 상황이 나빠지면 채무가 될 수 있다. 중견 건설사의 유동성 위기설이 불거진 것도 이 PF 우발채무 규모가 많기 때문이다.

지난 수년간 부동산 호황을 타고 주요 건설사들의 PF 보증 규모는 큰 폭으로 증가했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PF 보증이 존재하는 16개 건설사의 총 보증액은 28조3000억원이다. 2017∼2018년 14조8000억원에서 2022년 26조1000억원으로 덩치를 키우며 2020년 이후 빠른 속도로 불어났다.

한 중견 건설사 임원은 “지방은 미분양 우려가 크다 보니 착공으로 넘어가지 못하는 사업장이 늘고 있고 도급순위 100위권 안팎 건설사들이 자금 조달에 애를 먹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정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내년 하반기에 건설 경기가 나아져야 PF 리스크도 점차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